의협 "의대 증원, '백지화' 후 빨라도 2027학년도부터 가능"

"2025년 증원 그대로면서 2026년 유예 논의 無의미" '말 바꾸는 政 믿을 수 없다…여·야·정부터 단일안 내라"

2024-09-08     고정민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2025년도와 2026년도 의대 정원 증원 백지화를 다시 한번 요구했다(ⓒ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가 의대 정원 관련 논의는 2025학년도와 2026학년도 증원 계획 백지화 이후 2027학년도 정원부터 가능하다고 공언했다.

의협 최안나 총무이사 겸 대변인은 8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2025학년도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2026학년도 정원을 논의하는 것은 불가하다. 의대 정원 증원을 일시 중단하고 의료 현장을 정상화할 여·야·정의 단일한 의견이 나와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다른 논의는 의미 없다"고 못 박았다.

2027학년도 의대 정원 논의도 "의료 현장 정상화 후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의사 수를 추계하는 과정이 수반돼야 가능하다"고 분명히 했다. 최 대변인은 "의대 정원을 논하고 조정하려면 이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교육·수련 환경 변화를 차분히 준비해야만 한다. 현재로서는 아무리 빨라도 2027학년도 정원부터나 가능하다"고 했다.

2026학년도 의대 증원 유예를 전제한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에 유보적이던 의협이 다시 "협의의 최저선"을 그은 이유는 "정부의 말 바꾸기" 때문이라고 했다. 국무조정실은 지난 7일은 보도설명자료를 내고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유예 결정은 사실과 다르다"면서 "의료계가 의견을 내지 않으면 2026학년도 정원 재논의는 불가하다"고 했다.

이를 두고 최 대변인은 "정부가 단 하루 만에 입장을 바꿨다"면서 "정부를 믿을 수 없는 상황에서 진행하는 논의는 의미를 가지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지난 2000년부터 "역대 어느 정부에서도 의료계와 협의한 내용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면서 "현 정부도 마찬가지다. 이런 고질적인 문제부터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시간이 얼마남지 않았다. 정부가 태도를 바꾸지 않는 한 해결할 수 있는 건 없다"면서 "여·야·정이 우선 통일된 의견을 의료계에 내야 한다"고 했다.

회원도 의협에 힘을 실어주길 당부했다. 최 대변인은 "의대생과 전공의 의견이 무엇보다 우선이다. 정부가 젊은 의사 의견을 수용하지 않는 한 의협은 (정부와) 어떤 협의도 들어가지 않는다"면서 "의협은 의대생을 비롯해 회원과 국민을 지키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계속해서 찾고 있다. 협회와 함께해 달라. 결과로 보여드리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