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경찰력 동원해 전공의 겁박, 뻔뻔한 책임전가”

“부당한 소환 조사 중단하고 정책 철회하라”

2024-09-05     송수연 기자
대한의사협회는 전공의 대표에 대한 경찰 참고인 조사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도 ‘빅5병원’ 전공의 대표 경찰 소환 조사 중단을 촉구했다. 의료대란 책임이 전공의에게 있다는 듯 책임 전가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의협은 5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같이 말하며 “정부의 강압적인 수사·소송에 관해 변호인·대리인 선임과 관련 비용 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날 박재일 전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대표를 참고인 조사한 데 이어 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가톨릭중앙의료원 전공의 대표도 줄소환할 예정이다.

의협은 전공의 사직이 “특정인이나 특정집단 사주에 의한 것이 아닌” 자발적인 결정이라며 “정부의 근거 없는 정책 강행으로 전공의들이 더 이상 수련을 이어나갈 의미를 상실해 개별적으로 사직을 선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의협은 “정부는 마치 특정 사주자가 있는 것처럼 허황된 주장으로 사태 주동자를 찾는다며 경찰력을 동원해 이미 사직 처리가 완료된 전공의들을 겁박하는 폭거를 자행하고 있다”며 “정부발 의료공백 사태 책임이 마치 사직 전공의들에게 있는 것처럼 악마화하고 죄인 취급하며 여론을 호도하는데 급급하다”고 비판했다.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가 “근거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고 그릇된 정책인지 명명백백 드러났는데도 국민 질타와 지탄을 피해보려는 뻔뻔한 책임전가”라고도 했다.

의협은 이어 “경찰은 당장 전공의 대표들에 대한 부당한 소환 조사를 중단하고 철회하라”며 “정부는 지금이라도 의료공백 사태를 유발한 잘못에 대해 대국민 사과하고 잘못된 정책들을 철회하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