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교수들 “응급의료 위기 만든 책임자 문책해야”
응급의학의사회 비대위·전의교협, 공동 입장문 내고 정부 비판 “추석 앞두고 대통령 체면 살리려 복지부 등 억지 업무명령”
응급의료 현장 곳곳에서 위기를 알리는 경고음이 울리고 있는 상황에서도 정부가 ‘응급실 정상 운영’을 요구하고 있다는 의료계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 비상대책위원회와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지난 1일 공동 입장문을 통해 “추석을 앞두고 응급의료의 큰 위기가 눈앞에 보이는데도 정부에서는 문만 열고 있으면 정상이라고 국민들을 속이려 하고 있다”며 “대통령실 체면을 살리고자 보건복지부와 각 지자체들은 문 닫는 것만 막아보려는 억지스러운 업무명령과 민간의료기관 겁박으로 문을 열지 않으면 처벌하겠다고 협박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응급의학의사회 비대위와 전의교협은 “강원도의 한 권역응급의료기관은 전공들이 사직하고 급격히 늘어난 업무량으로 인해 소수의 전문의들이 도저히 정상적인 근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임에도 24시간 근무하지 않으면 처벌하겠다며 협박과 겁박을 일삼고 있다”면서 “연휴기간 응급실을 운영해야 한다며 공문에도 ‘연휴기간 자발적 참여’라고 하지만 불응할 경우 현장조사와 고발 하겠다고 한다”고 했다.
이들은 “국민들 안전에 얼마나 도움이 될 것인지는 아무 관심도 없이 단지 문제없다는 앵무새와 같은 말만 반복하는 대통령실과 복지부 발상은 도대체 무엇을 근거로 하는 것인가. 119 강제 수용을 실시해 수술이 불가능한 병원에 환자를 내려놓으면 뺑뺑이는 없어지겠지만 환자는 사망할 것”이라며 “뺑뺑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서는 환자의 안전은 고려 대상이 아닌 정부의 무책임하고 뻔뻔한 결정”이라고도 했다.
이들은 “현재 응급실 상황은 매우 심각하며, 앞으로 더욱 악화될 것이 자명하다. 정부가 응급실 파행과 진료공백이 없다고 아무리 말해도 많은 국민들이 현실을 체험하고 고통스러워하고 있다”며 “이 사태를 야기한 정부는 어리석은 정책 남발로 국민과 의료진이 더 이상 피해 입지 않도록 해야 한다. 책임자를 엄중히 문책하고 잘못된 정책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