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협 박단 “또 하나의 재앙 '간호법'…간협·병원장만 노났다”

복지위 법안소위 통과 직후 심경 밝혀 "의사로서 사명감과 긍지 내려놓겠다"

2024-08-27     김은영 기자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이 '간호법'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 통과 소식에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청년의사).

‘간호법’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하자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은 “의사로서 사명감과 긍지를 내려놓겠다”며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간호법이 의료체계를 왜곡하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도 했다.

박 위원장은 27일 페이스북을 통해 "간호법은 대한민국 의료 체계를 왜곡하는 또 하나의 재앙이 될 것"이라며 “젊은 간호사들이 이 법안(간호법)을 진정으로 환영하는지 의문이다. 국민과 환자에게 이로운 법안인지도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의료행위에 대한 책임은 누가 질지, 교육은 어떻게 할지, 구체적인 계획은 있던가. 결국 몇몇 고위 관료들과 대한간호협회, 병원장들만 노났다”고 했다.

그러면서 “의사로서의 사명감과 긍지를 내려놓겠다. 교도소와 노숙인 진료소, 응급실 등 모두가 기피하던 그곳에서 진료했던 모든 순간을 후회한다”고도 했다. 박 위원장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전공의였다.

간호법을 심의한 여·야 의원들은 물론 진료지원인력(PA) 활용에 ‘침묵한’ 의대 교수들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했다. 간호법은 PA 업무 범위를 규정하고 이들의 의료 행위를 법으로 보호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박 위원장은 “각자도생의 시대는 모두에게 꽤나 혹독할 것 같다”며 “여·야 의원들도 그 책임을 무겁게 마주했으면 한다. 본인들의 편의를 위해 그 왜곡을 자행하고 묵과했던 교수들도 자성하길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