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USA 2024] ‘리보세라닙’ 美승인 보류, 중국 견제 때문?
美中 갈등에 국내 기업 신약 허가 여파 등 우려 제기 이승규 부회장 “국가 아젠다 삼고 부처 합동 대응해야”
[샌디에이고=김찬혁 기자] 최근 미국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생물보안법을 발의해 중국 바이오산업을 견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우시바이오로직스와 같은 중국의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들이 제약을 받게 되면서, 국내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로 인해 한국 기업들이 마냥 웃을 수만은 없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컨벤션센터에서 세계 최대 규모 제약·바이오 컨퍼런스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2024(이하 바이오USA)’가 개최된 가운데 행사 첫날을 맞아 한국관을 공동 운영하는 한국바이오협회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KOTRA)가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최신 바이오산업 동향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한국바이오협회 이승규 부회장은 “최근 새롭게 거버넌스가 꾸려진 미국 바이오협회(미국 BIO, 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는 정부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기조”라며 “미국이 국가 정책으로 생물보안법을 강하게 추진하면서 한국 기업들이 이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됐다”고 분석했다.
이승규 부회장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에스티팜과 같은 cGMP 시설을 보유한 기업들뿐만 아니라 신약개발기업들이 허가와 관련된 도전 과제를 극복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이 부회장은 최근 에이치엘비(HLB)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간암 치료제 ‘리보세라닙’ 품목허가 신청에 대해 CRL(보완요구서한)을 받은 사실을 언급했다.
이 부회장은 “얼마 전에 (에이치엘비가) 리보세라닙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가 떨어졌는데 중국의 항서제약 제품(캄렐리주맙)과 병용요법으로 썼다가 허가가 불발됐다. 그게 (미국과 중국의 갈등) 관계 속에서 그렇게 된 것인지 논란이 좀 있는 것 같다. 이 부분에 대해선 아직 미국도 정확한 답을 내놓지 않았고 면밀히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확실한 건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자기네 인체 정보가 빠져 나가지 않고 자국 내에서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의 공격적인 진행이 우려스럽다”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바이오 주권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은 각 정부부처별로 대응하고 있지만 국가 아젠다로 삼고 깊이 있는 논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코트라 박성호 북미지역본부장은 이에 대해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탁월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속적인 네트워킹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뉴욕 무역관을 중심으로 미국 전역의 바이오산업을 커버하며, 한국 기업들의 니즈와 미국 및 글로벌 기업들의 니즈를 연결시키는 중간다리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바이오협회와 코트라에 따르면, 올해 한국관 참가 기업 수는 작년(25곳)에 비해 대폭 증가해 다. 한국관 참가 공모에 응한 26개 기업 외에도 서울바이오허브와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이 각각 10곳과 5곳의 참가를 지원하며 총 41개 기업이 참관객을 맞이하게 됐다.
박 본부장은 “작년에 비해 한국관의 사이즈도 커졌고, 디자인도 개선됐다. 내년에는 보스턴에서 바이오 USA가 개최되며, 한국관의 규모를 더욱 키울 계획이다. 더 많은 한국 기업들이 참가하게 될 것”이라며 “한국 기업들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우리 실무진들이 혼연일체가 되어 열심히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