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코로나 백신 3차 접종으로 변이 감염 예방 원리 규명
서울대-파스퇴르연구소, 연구결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게재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으로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박완범 교수와 서울의대 내과학교실 오명돈 명예교수, 생화학교실 정준호 교수,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권성훈 교수, 한국파스퇴르연구소 김승택 박사 공동연구팀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이 체세포 과돌연변이 증가를 유도해 코로나19 항체 특이성을 확대하고 이로 인해 야생형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종에도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원형 백신 3차 접종이 오미크론 변이 감염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는 나온 바 있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에 노출된 적 없는 면역세포에서 다회 접종 후 항체가 만들어지는 원리는 밝혀 진 게 없었다.
이에 연구팀은 화이자 mRNA 백신 3차 접종자 41명의 혈액을 1차 접종 전 1회, 2차 접종전 1회, 3차 접종 전 3회, 3차 접종 후 1회씩 총 6회 채취한 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방법으로 코로나19 항체 변화를 추적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형성된 항체에서 체세포 과돌연변이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체세포 과돌연변이는 항원과 결합하는 부위 유전자 구조에서 발생한다. 체세포 과돌연변이가 발생한 항체는 여러 항원에 결합할 수 있어 다양한 변이에 대응한다.
백신 접종 횟수가 늘수록 코로나19 항체 대응 바이러스 종류도 늘었다. 2차 접종 후에는 항체가 알파·베타·감마 등 주요 변이에 대응하고 3차 접종 후에는 오미크론 하위 변이에도 대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백신 다회 접종으로 유발된 체세포 과돌연변이가 바이러스 항원에 대한 항체 특이성을 확대시킨다”며 “ 이런 변화가 오미크론 변이 감염에 대응하는 메커니즘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향후 팬데믹 발생 시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 접종 전략을 마련하는 데 이번 결과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