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셀비온 등 올해 우수 신약개발 사례 선정
신약개발사업단, 10대 우수과제 선정…3개사 성과 발표 내년 ADC‧TPD‧CGT 등 신규 모달리티 지원사업도 공개
대웅제약, 셀비온 등 약 3년간 국가신약개발사업을 통해 우수성과를 낸 제약‧바이오기업이 공개돼 눈길을 끈다.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이하 사업단)은 12일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2023 국가신약개발사업 우수과제 선정 발표회’를 개최했다.
사업단은 지난 2021년부터 2023년 2차까지 진행됐던 과제 중 주요 우수 과제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이번 자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사업단은 내‧외부 위원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를 꾸려 단계별 평가를 진행했으며, ‘하이 퍼포먼스(High performance)’, ‘테크놀로지 브레이크스루(Technology Breakthrough)’, ‘뉴 인사이트(New Insight)’ 등 분야별로 나눠 우수 과제를 선정했다.
이에 따라 선정된 기업은 앱티스, 대웅제약, 한국과학기술원(KAIST), 파이메드바이오, 지놈앤컴퍼니, 큐로셀, 셀비온, 아이엠바이오로직스, 퓨쳐켐, 서울대산학협력단 등 총 10곳이다. 이 중 대웅제약, 지놈앤컴퍼니, 셀비온은 현장에서 우수 성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또 사업단은 오는 2024년 새롭게 진행되는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개발지원’ 사업을 공개했다.
이는 글로벌 공동 임상개발을 돕기 위한 것으로, 지원 대상은 항체-약물 접합체(ADC), 타깃 단백질 분해/분자접착제(TPD/Molecular Glue),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신규 타깃/신규 모달리티(Novel target/New modality) 등이다.
임상 단계 물질의 경우, 글로벌 공동 연구가 진행 중일 때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여기서 글로벌 공동연구란 국내 연구개발기관이 해외 공동연구기관과 추진하는 글로벌 공동 임상개발을 의미한다.
공동연구기관은 화이자, 로슈, MSD 같은 글로벌 제약사, 혹은 리제네론, 바이오젠과 같은 나스닥 상장 대형 바이오텍,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같은 글로벌 임상시험 가능 기관 등이 해당된다.
2024년 신약개발사업을 소개한 사업단 김순남 R&D 본부장은 “당초 연 3회 모집‧선정하던 신약개발사업을 내년부터는 연 2회 모집하게 됐다”며 “ADC 파이프라인 개발을 지원하던 ADCaptain project도 내년에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번호 단계 과제명 주관기관 선정 분야 1 비임상 위암 치료용 클라우딘 18.2 표적 항체-약물 복합체의 비임상 개발 앱티스주식회사 Technology Breakthrough 2 임상2상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를 위한 신규 기전 합성 약물의 임상 연구 대웅제약 High Performance 3 유효 (선도진입) T 세포 유도 이중항체를 이용한 항원 특이적 B 세포 제거 기전의 혈액형 부적합 장기이식 치료제에 대한 선도물질 도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Technology Breakthrough 4 비임상 First-in-class 암줄기성 억제 항암제 PMB212의 비임상 연구 및 IND 승인 파이메드바이오 주식회사 New Insight 5 비임상 신규 타겟인 CNTN4를 표적으로 하는 면역관문억제제 GENA-104A16의 임상시험을 위한 IND 승인 및 임상시료의 확보 지놈앤컴퍼니 New Insight 6 임상2상 면역억제환경을 극복하는 차세대 CD19 CAR-T의 임상 시험을 통한 신약 허가 획득 주식회사 큐로셀 Technology Breakthrough 7 임상2상 전립선특이적막항원을 표적으로 한 치료용 신규 방사성의약품 개발 주식회사 셀비온 Technology Breakthrough 8 비임상 다중면역조절기능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혁신 항체의약품 개발 (주)아이엠바이오로직스 New Insight 9 임상1상 (완료) 임상2상 (진행) 전립선암 표적 치료 방사성의약품 신약 임상개발 (주)퓨쳐켐 High Performance 10 유효 (선도진입) 종양 특이적 분자인 도펠을 표적화하는 항체-약물 접합체(ADC)의 유효물질 및 선도물질 도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New Ins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