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약 도입과 급여 등재 비율 OECD 평균 이하"
OECD 국가 평균 신약 도입률 18%…우리나라 5%
한국의 신약 도입률과 출시율 및 급여율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평균에 미치지 못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는 8일 '글로벌 신약 접근 보고서(Global Access to New Medicines Report)'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신약 출시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미국 제약연구 및 제조사협회(PhRMA)'가 4월 발간한 보고서로, 한국을 포함한 총 72개 국가를 G20, OECD, 지역별로 세분화해 국가별 신약 출시현황 및 건강보험 급여 실태를 현황을 담았다.
보고서의 분석 기간은 2012년부터 2021년까지였으며 미국·유럽·일본 중 시판허가를 승인받은 총 460개의 신약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OECD 국가 평균 신약 도입률(비급여 출시율)은 18%인 반면 우리나라는 5%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신약 도입률을 보인 국가는 미국(78%), 독일(44%)과 영국(38%) 순이었며, 일본의 경우 32%로 조사됐다.
질환별 조사에서도 항암제 및 희귀질환 신약의 경우 글로벌 출시 후 한국에 비급여로 출시되기까지 약 27~30개월 정도 걸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영국, 독일 등 선진국이 평균 12~15개월, 일본은 18~21개월 걸리는 것으로 집계됐다.
신약의 글로벌 첫 출시 후 한국에서 급여까지 걸리는 기간은 총 46개월로 나타났다. OECD 국가 평균은 45개월로 비슷했다. 일본의 경우 17개월, 프랑스는 34개월이 소요됐다.
한국의 건강보험 급여 신약 비율은 22%로 OECD 국가 평균 29%보다 낮았다. 일본과 영국은 48%를 기록했다.
KRPIA 관계자는 “이번 보고서로 글로벌 신약 출시 후 국내에 도입되고 급여화되는 신약의 비율과 기간을 알 수 있다”며 “혁신 신약의 가치가 제대로 인정받고, 국내 환자들도 글로벌 신약에 대해 건강보험 급여를 빠르게 적용받을 수 있도록 제도와 환경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