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진 교수, "기존 치료 패러다임 바꾸는 계기가 됐을 뿐"
삼성서울병원, 미충족 수요 개선 위해 큐로셀과 협약 맺고 임상 진행

"CAR-T 치료제를 기적 또는 꿈의 항암제 등이라고 말하지만, CAR-T 치료제는 여전히 미충족 수요와 한계가 있는 세포 치료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약내과 김석진 교수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약내과 김석진 교수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약내과 김석진 교수는 지난 2일 삼성서울병원이 면역·정밀의료 주제로 개최한 기술사업화 세미나에서 이같이 피력했다.

현재 CAR-T 치료제 노바티스 백혈명 치료제 '킴리아(성분명 티사젠렉류셀)'가 올해 국내에서 처음 보험급여 등재되며 국내 임상에서도 쓰임이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킴리아는 1회 투여로 우수한 치료효과를 보이지만 모든 환자에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며 환자의 세포를 직접 채취해 치료제를 만들기 때문에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하고, 급여가 적용돼도 가격은 여전히 초고가다.

김석진 교수는 "CAR-T 치료제는 기존 치료제에 비해 치료 성적을 많이 개선해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하나의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면서도 "환자의 T세포를 유전적으로 재조합해 CAR-T 항암제로 만들기까지 일정 부분 시간(Turn Around Time, TAT)이 소요되는데 최대 두달이 걸리기 때문에 환자가 그 기간동안을 버텨야 한다. 또 그렇게 투여를 한다고 해도 아직까지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Cytokine release syndrome, CRS)이나 면역세포연관 신경독성증후군(immune effector cell-associated neurotoxicity syndrome, ICANS)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CAR-T 치료제는 이같은 약제 특성에 따른 미충족 수요뿐만 아니라, 기존 치료제와 제형과 제조법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허들이 존재한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CAR-T 치료제는 '첨단재생바이오법'을 통해 인체 세포 등 관리업 허가를 받은 기관만 다룰 수 있도록 허용했다.

김 교수는 "삼성서울병원의 경우 원내에 GMP 시설을 모두 구축해 CAR-T 치료제 임상시험부터 급여가 가능한 기준까지 만족시킨 상황"이라며 "여기에 CAR-T 치료제는 치료 후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러 과가 참여하는 CAR-T세포치료센터를 추가로 만들었다"고 했다.

이어 여러 미충족 수요를 개선시키기 위해 삼성서울병원은 국내 유전자 세포 기업인 큐로셀과 협약을 맺고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삼성서울병원이 진행 중인 임상시험은 킴리아와 마찬가지로 재발성·불응성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DLBCL) 치료제로 개발중인 'CRC01' 관련 임상시험이다. 이 제제는 면역관문수용체인 PD-1과 TIGIT 발현을 억제하는 OVIS(Overcome Immune Suppression) 기술이 적용된 차세대 CD19 CAR-T 치료제다.

유럽혈액학회 연례학술대회(EHA 2022)에서 발표된 CRC01 1상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재발성, 불응성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환자 11명 중 9명(82%)이 완전관해에 도달했다. 부작용은 CAR-T 치료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인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CRS)은 3등급 2건이 발생했으며, 2등급의 신경독성 부작용(ICANS) 1건이 발생했고 용량제한 독성(DLT)은 관찰되지 않았다.

김 교수는 "해당 임상은 삼성서울병원에서 진행된 연구로 3가지 약물 용량으로 나눠 진행했는데 모든 군에서 반응을 보였다"며 "'안발셀'이라 불리게 될 치료제는 현재 24명이 추가 임상등록이 된 상황이고 내년 초까지 100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첨언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