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EP, 과학발전 활용한 정부 전략 필요성 강조

원격의료 등 ICT 기술을 활용해 고령사회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최근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고령사회 대응 정책 방향'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KISTEP는 "ICT와 생명의료, 로보틱스 등 분야별로 고령화 대응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만큼 이를 통합해 고령화 대응을 위한 국가 차원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구축해야 한다"면서 "안정적 추진을 위해선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고령화대응 특위' 설치 등 컨트롤타워의 구축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재활로봇, 원격의료 활용시 정보 연계를 위한 기술표준화와 건강·의료 정보 활용을 위한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 수립이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 저출산고령화기본계획에서도 원격의료나 스마트헬스케어 등 ICT 기술을 활용한 고령화 대책이 추진 중이지만, 적용 기술 분야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KISTEP는 "원격의료 관련 기술은 의료기관과 군부대, 원양선박 등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이 추진 중"이라며 "2002년 의료법에 원격의료 규정을 신설하고 의료인간 기술지원 형태로 진행되고 있지만 의료인과 환자간 원격진료는 완전히 시행되지 않고 있다"고 했다.

또한 국내에서도 고령화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하지만 여전히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있어 역량확보에 뒤처질 경우 국내 초고령사회 실버산업을 일본 등의 선진국에 뺏길 수 있다고도 했다.

KISTEP는 "현행 과학기술 기반 고령화 대응 정책은 재활 보조기기 개발, 맞춤형 의료기기 개발, 고령친화 산업 창출 등으로 한정돼 있다"면서 "고령친화 산업에 대한 인식도가 낮아 고령화를 새로운 기회로 인식하는 등 정부차원의 전략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최근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정밀의료와 AI, 스마트 자동차 등이 선정돼 국가의 기술역량을 결집할 예정"이라며 "각 전략프로젝트의 세부과제 및 주요 연구 이슈로 고령화에 따른 맞춤형 헬스케어, 자동차 안전 등의 영역을 포함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