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등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종합적으로 구현된 형태
제약 없는 디지털 공간으로서 의료 효율화 가능해져

세브란스병원 김광준 교수는 메타버스가 병원계 디지털화 흐름을 종합적으로 구현한 형태라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 김광준 교수는 메타버스가 병원계 디지털화 흐름을 종합적으로 구현한 형태라고 말했다.

실체가 없다고 여겨지는 메타버스가 이미 진료 현장에 구현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30일 대한병원협회가 코엑스에서 진행한 국제병원의료산업박람회(K-HOSPITAL FAIR 2022)에 연자로 참석한 세브란스병원 노년내과 김광준 교수는 '2022 K-디지털헬스케어 서밋'에서 현재 병원계 디지털화 흐름을 소개하며 이 같이 말했다.

김 교수는 "시간과 공간이 물리적으로 제약된 오프라인 진료 공간에는 '3분 진료'로 대표되는 환자와 공급자간 마찰이 존재한다. 의료서비스 비용을 올리면 질도 함께 올라가지만 접근성은 저해된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현재 의료 시스템으로는 이 비용과 질, 접근성의 상관관계를 깰 수 없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의료시스템 혁신을 통한 효율화로 의료 질을 올리면서 접근성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이미 AI를 비롯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병원이라는 제한적인 공간에서만 제공되던 의료가 가정에서도 가능해졌다. 앞으로 병원이 아닌 곳과 환자를 중심으로 의료가 바뀔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 바로 메타버스라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의료서비스 효율화를 위해 병원이 AI와 디지털 트윈, 원격진료, 클라우드 등 기술을 도입하면서 메타버스가 진료 현장에 자리 잡았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메이요 클리닉 등 미국 병원은 병원 내 모든 병실과 검사실 공간을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하고 이 (가상) 병원에서 환자 동선과 업무 흐름을 파악해 과부하와 비효율을 해결하고 있다. (가상병원을) 관제센터로 활용하는 솔루션은 앞으로 병원 운영에 더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교수는 "우리 정부도 디지털 공간 병원 관리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이런 흐름이 계속되면 물리적 병원 공간은 점점 축소되고 디지털 공간은 확대된다. 비용을 줄이면서 의료서비스 수준은 향상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의료 분야에서 메타버스는 더이상 지난 2020년부터 나온 '뜬구름 잡는 이야기'가 아니다. 이미 디지털화의 (총체적인) 형태로서 병원 안에 구현되고 있다"면서 "곧 경계가 없는 의료, 경계가 없는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가 온다. 상시적으로 제공되고 제약 받지 않는 의료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