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좌심방변형률 따른 심부전 발생 여부 분석
좌심방변형률 정상 범위면 10년 안 심부전 사망 위험 '0'

국내 연구진이 수술 없이 심장초음파 검사로 비후성심근증 환자의 심부전 위험을 예측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비후성심근증 환자 생존율은 검사로 측정한 좌심방변형률(left atrial strain)이 낮을수록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형관·이현정 교수 공동 연구팀은 좌심방변형률에 따른 심부전 발생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7년간 추적 관찰을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비후성심근증은 유전적으로 심장 근육이 두꺼워지는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희귀질환으로 분류하지만 최근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다. 말기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주의가 요구되지만 이를 예측하려면 침습적 심도자술로 좌심실 이완기능을 측정해야 해 환자 부담이 컸다.

이에 연구팀은 비침습적인 심장초음파 검사로 측정 가능한 좌심방변형률로 심부전 위험 예측 방법을 고안했다.

이를 위해 지난 2007년부터 2019년 사이 비후성심근증 진단을 받은 환자 414명의 좌심방변형률과 심장기능을 측정한 뒤 약 7년간 심부전 발생 여부를 추적 관찰했다.

심장 이완기능 장애 정도에 따라 비후성심근증 환자를 ▲정상(35% 이상) ▲1등급(24%이상 35%미만) ▲2등급(19%이상 24%미만) ▲3등급(19% 미만)으로 분류하고 '10년 무사고 생존율'과 비교 분석했다. 비후성심근증 환자 평균 변형률은 23%로 평균 35%보다 12%p 낮았다.

(왼쪽)좌심방변형률에 따라 구분한 기능 장애 정도(정상, 1~3단계)와 비후성심근증 환자의 심부전 관련 무사건 생존율 간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오른쪽 위)비후성심근증 환자 가운데 좌심방변형률이 정상 수준인 56세 남성 (오른쪽 아래)좌심방변형률 9.2%로 중증 섬유증이 있는 75세 여성(자료 제공: 서울대병원).
(왼쪽)좌심방변형률에 따라 구분한 기능 장애 정도(정상, 1~3단계)와 비후성심근증 환자의 심부전 관련 무사건 생존율 간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오른쪽 위)비후성심근증 환자 가운데 좌심방변형률이 정상 수준인 56세 남성 (오른쪽 아래)좌심방변형률 9.2%로 중증 섬유증이 있는 75세 여성(자료 제공: 서울대병원).

분석 결과, 정상 그룹 심부전 관련 10년 무사고 생존율은 100%로 나타났다. 비후성심근증이 있어도 좌심방변형률이 정상 범위면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사망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완기능 장애 그룹은 좌심방변형률이 낮아지면 심부전 발생으로 생존율까지 감소했다. 10년 무사고 생존율이 1등급은 91.6%인 반면 2등급 84.1%, 3등급은 67.5%까지 하락했다.

김 교수는 “심장초음파를 통한 좌심방변형률을 활용하면 침습적인 심도자술 등 추가 검사 없이도 비교적 쉽게 심부전 예측이 가능한 만큼 환자 부담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심장협회 학술지 ‘Circulation Cardiovascular Imaging' 4월호 ’주목받는 이달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