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부관절학회, 회원 설문…60.3%, ‘당뇨발 환자 다학제 진료 안 해’
73.1%, 다학제 치료 한계로 ‘장기적 치료와 완치 어려움’
연구팀 “저수가로 인해 여러 전문의의 참여 동기 부족”

당뇨발 환자를 치료할 때 다학제 진료가 중요하지만, 낮은 보험수가와 여러 과 의사 간 진료시간 조율의 어려움 등 현실적인 문제들에 부딪혀 다학제 진료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배서영 교수 등 연구팀은 ‘당뇨발 치료 동향: 대한족부관절학회 회원 설문조사 분석’이라는 논문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 논문은 최근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JKFAS)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지난해 족부족관절학회 회원 550명을 대상으로 당뇨발 진료·치료 방법과 다학제 진료 시행 여부, 치료 현황 등에 대해 조사했다.

응답자들은 현재 근무하는 병원에서 당뇨발 환자에 대한 다학제 진료를 시행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31명(39.7%)이 시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47명(60.3%)은 시행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거의 모든 당뇨발 입원·외래환자를 대상으로 다학제 진료를 활발하게 시행하고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10명(12.8%)이었고, 다학제 진료를 하고는 있지만 특정 환자를 대상으로만 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21명(26.9%)이었다.

당뇨발은 당뇨병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으로 꼽힌다. 당뇨환자의 15~25%는 당뇨발을 평생 한 번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뇨발은 말초신경병증, 혈관병증, 감염 등을 동반할 수 있다.

다양한 합병증과 후유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여러 임상과의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시기의 종합적 판단과 치료가 중요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당뇨발 치료의 다학제적 접근이 일반화되지 않았다는 게 연구팀의 지적이다.

설문조사에서도 다학제 진료를 활발히 시행하고 있지 않는 이유로 ▲비용 문제(인력, 장소 포함)(23명·33.8%) ▲여러 과 간의 시간 조율의 어려움(16명·23.5%) ▲타과의 비협조(12명·17.6%) ▲협진 의뢰만으로 충분하다(8명·11.8%) ▲다학제 진료에 대한 정보 부재(5명·7.4%) ▲주도자의 부재(4명·5.9%) 등을 들었다.

또 정형외과 외에 다학제 진료 참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과로 가장 많은 응답자가 내분비내과(63명·80.8%)를 꼽았다. 그 외 ▲혈관외과(61명·78.2%) ▲감염내과(54명·69.2%) ▲신장내과(44명·56.4%) ▲심혈관내과(42명·53.8%) ▲성형외과(31명·39.7%) ▲영상의학과(26명·33.3%) ▲사회사업과(25명·32.1%) ▲재활의학과(15명·19.2%)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당뇨발 환자 치료에 있어서 가장 큰 한계점으로 ‘장기적인 치료와 완치의 어려움’(57명·73.1%)을 들었다. 이밖에도 ▲치료 및 보험수가가 낮음(55명·70.65%) ▲합병증 및 중환자 비율이 높음(52명·66.7%) ▲환자와 보호자의 낮은 순응도(40명·51.3%) ▲다학제적 접근의 어려움으로 효율적 치료 어려움(23명·29.5%) ▲비보험 항목이 많아 재료나 수술 방법 적용이 어려움(14명·17.9%) 등이 꼽혔다.

연구팀은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다학제 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적절한 비용 청구가 불가능하거나 여러 과 의사 간 진료시간 조율의 어려움 등 주로 현실적인 문제들로 인해 다학제 진료가 잘 시행되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당뇨발 환자의 특성상 내과적 기왕력이 많고 질병이 다양한 경과를 보여 내·외과적 전문분야 협조를 통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했다.

연구팀은 “현재의 건강보험 체제에서 다학제 통합진료는 산정특례와 중증질환자, 미등록 암환자, 희귀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 결핵 등의 질환에서만 급여가 인정된다”며 “이로 인해 현재 정형외과 영역에서 당뇨발 치료는 급여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고, 많은 응답자가 다학제 진료에 대한 수가 책정이 안 돼 있다는 점 때문에 (다학제 진료) 실제 시행률은 39%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또 “급여가 인정되는 질환의 경우에도 다학제 진료에 참여한 의사의 수가 4인인 다학제 진료 수가는 2021년 현재 16만4,360원으로 여전히 저수가로 인해 여러 전문의의 참여 동기가 부족하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표준적 당뇨발 치료 지침 정립과 근거 마련, 다학제 진료의 적정 수가 마련 등을 위해 학회 차원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