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기술 활용 어려워하는 노인들…“정보격차 줄여야”
가톨릭의대 김헌성 교수 "노인 단순 소비자로 여겨선 안돼”

노인의료를 보완하는 맞춤형 스마트헬스케어 시스템을 개발할 때 노인 자율성 침해나 정보격차와 같은 윤리적 문제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가톨릭의대 의료정보학교실 김헌성 교수 등 연구팀은 의학논문 데이터베이스 ‘PubMed’에 ‘Smart health’와 ‘Ethic(Ethics)’ 키워드를 통해 검색된 노인 스마트헬스케어의 윤리적 딜레마와 관련된 논문 292편 중 29편을 선별해 각 논문에서 다루는 주제들을 분석했다.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현재 노인의 건강데이터를 분석하고 일상생활을 모니터링 하는 등 노인들을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다양한 스마트헬스케어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괄목한 성장을 이루고 있는 스마트헬스케어 분야는 불안, 불면증, 우울증 등 정신건강 분야로 노인의 심리적·정서적 지원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노인들은 최신 ICT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보취약계층(고령층·농어민·장애인·저소득층) 중 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68.6%로 가장 낮았다.

연구팀은 이러한 정보격차 문제는 노인의료의 형평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문제와 연결된다고 했다.

연구팀은 “ICT 기술 경험이 부족한 노년층은 스마트헬스케어 기술을 배우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며 “정보격차는 노인환자의 의료기회와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다. 노인들 스스로가 자신의 건강관리를 위해 스마트헬스케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발할 때) 임상적·윤리적 연구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정보격차를 줄이는 것은 곧 건강 불평등을 줄이고 의료 접근 장벽을 제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며 “따라서 스마트헬스케어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의료 접근성과 형평성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구팀은 노인들이 자신의 정보가 의료시스템에 활용되는 것을 꺼리는 경우가 많지만, 스마트헬스케어 연구자들은 노인을 환자가 아닌 단순 소비자로 여겨 노인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자칫 의료시스템의 권력 불균형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도 우려했다.

연구팀은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의생명 윤리학에서 중요한데 이는 스마트헬스케어 기술에서도 비슷한 중요성을 갖는다”며 “노인 스스로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사용함에 따라 생길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책임을 노인과 기술 개발 기업들이 분담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 연구에 따르면 노인들도 스마트헬스케어 기술 개발에 관심 있고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제안했다”며 “(스마트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자들이) 노인들에게 스마트헬스케어 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정보의 관리 및 활용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고,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같은 제안이 담긴 논문(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mart Healthcare for Older Adults)은 연세대 의과대학이 발행하는 영문 의학저널 ‘YMJ(Yonsei Medical Journal)’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