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4월 자가진단키트 승인하며 약국 판매 시작
서울시 등 지자체 적극 활용 후 7월부터 환자 급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은 2021년에도 끝나지 않았다. 당연히 올 한해도 사회적 이슈는 코로나19였다. 코로나192년 동안 싸웠지만 아직도 악전고투 중이다. 그렇다고 코로나19와 관련된 문제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세계 최초로 수술실 CCTV 설치를 의무화한 법안이 제정된 것도 올해다. 다사다난했던 2021년 의료계를 청년의사가 10대 뉴스로 정리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4월 국내에서 자가진단키트 제품 2개를 승인하고 약국 판매를 시작했다. 그리고 7월 4차 대유행이 시작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4월 국내에서 자가진단키트 제품 2개를 승인하고 약국 판매를 시작했다. 그리고 7월 4차 대유행이 시작됐다.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유행이라는 말이 막 나오기 시작하던 지난 4월 2일 방역당국은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를 선별검사의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신속항원검사법을 활용하는 자가진단키트는 민감도가 낮아 선별검사에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다고 지적한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의 경우 국내 최초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고 출시된 신속항원진단키트인 에스디바이오센서의 ‘STANDARD Q COVID-19 Ag Test’를 검증한 결과, 민감도가 41.5%에 불과하다는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서울대병원 연구진도 1월에 병원에 입원한 환자 98명을 대상으로 1인당 검체 2개를 채취해 RT-PCR과 신속항원검사를 모두 실시해 비교한 결과, 신속항원검사의 민감도는 RT-PCR 대비 17.5%에 불과하다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신속항원진단키트도 이 정도인데 자가진단키트는 검체 채취도 스스로 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성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인 것이다.

하지만 4월 재보궐선거를 통해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된 오세훈 시장이 취임과 동시에 '서울형 상생방역'을 내걸고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보완 수단으로 자가진단키트 승인을 정부에 촉구하면서 논의는 정치 논쟁으로 번졌다.

방역당국도 '자가진단키트는 보조수단'이라고 강조하면서도 도입에는 속도를 냈다. 오세훈 시장이 총대를 메는 모양새였지만 방역당국도 내심 자가진단키트 활용을 원했던 것이다.

전문가들은 과학적 근거를 내세워 반대하고 방역당국에서는 활용 폭을 넓히려고 시도하는 사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4월 23일 자가검사키트 제품 2개를 승인했고 지자체의 자가진단키트 활용은 계속 늘었다.

가장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낸 오세훈 시장이 5월부터 콜센터와 물류센터에서 자가검사키트 시범사업을 시작했고 충청북도와 전라북도 고창 등 타 지역으로 번졌다.

그리고 7월 6일 746명이던 코로나19 신규확진자는 7일 1,212명으로 하루 사이 466명 급증했다. 일주일 뒤인 14일에는 1,600명대를 돌파했다. 4차 유행의 서막이었다.

이를 두고 의료계에서는 자가검시키트 도입 때부터 예상했던 상황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자가검사키트를 약국에서 판매하기 시작한 지 2개월 후 벌어진 일이었다.

황당한 것은 전문가들이 문제가 많다고 지적한 자가검사키트를 약국에서 판매하도록 허가한 식약처는 제품이 얼마나 판매됐고 검사결과 위음성이나 위양성률이 얼마나되는지 파악하는 모니터링체계 조차 갖추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전문가들은 자가검사키트가 코로나19 깜깜이 확산에 역할을 했다고 평했다.

특히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 대책전문위원회는 9월 7일 "코로나19 4차 유행 원인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신속항원검사키트 오남용에 대한 문제가 확인됐다"며 "일반 국민이 개별적으로 자가검사키트를 사용하는 것은 권고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4차 유행 원인을 자가검사키트의 오남용이라고 공식화 한 것이다.

자가검사키트 논란은 '방역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전문가 의견을 들어야 한다'는 교훈을 남겼다. 그러나 잘못된 선택으로 인한 피해는 오로지 국민들 몫일 뿐이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