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지원율 증가세…정원 감축 '반짝 효과' 분석도
학회 자구책 한계…"수가 개선 등 정부 지원 동반돼야"

10년간 '장기 불황'을 겪던 비뇨의학과 문을 두드리는 전공의가 다시 늘고 있지만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을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비뇨의학과가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학회 차원 자구책을 넘어 정부의 장기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청년의사가 ‘2022년도 전공의(레지던트) 모집’ 마감일인 지난 8일 전국 수련병원 55곳을 조사해 분석한 결과, 비뇨의학과는 정원 56명에 49명이 지원해 지원율 87.5%를 기록하며 지난해 지원율 70.9%보다 16.6%p 상승했다.

비뇨의학과 전공의를 모집한 수련병원 39곳 중 30곳이 정원을 채웠다. 지난해 지원자가 없었던 가천대길병원, 강북삼성병원, 경북대병원 등 8개 병원이 올해는 정원 확보에 성공했다.

그러나 비뇨의학과 정원 감축에 따른 '반짝 효과'가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비뇨의학과는 지난 2017년 전공의 모집 정원을 120명에서 78명으로 약 30% 감축했다. 여기에 비뇨의학회 차원에서 정원을 55명까지 제한해 모집하고 있다. 실제 78명 정원을 기준으로 하면 비뇨의학과 지원율은 62.8%다.

지원자는 증가 추세지만 10년간 지속된 장기 미달 사태 속에 비뇨의학과 전문의 인력은 크게 줄어든 만큼 마냥 '장밋빛 미래'를 꿈꾸기 어렵다는 것.

대한비뇨의학과의사회 조규선 회장은 지난 10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전공의가 더 필요하고 더 뽑아야만 하지만 그럴 수 없으니 궁여지책으로 정원을 줄이면서 수치상으로 개선 효과가 커보이는 일종의 착시 현상이 일어났다"면서 "78명 정원 기준에서도 전공의 지원율이 상승한 것은 맞지만 결코 높은 지원율이라고 할 수 없다.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8일 마감된 '2022년도 전공의(레지던트) 모집' 결과 조사 분석
지난 8일 마감된 '2022년도 전공의(레지던트) 모집' 결과 조사 분석

무너진 수련 기반 복구 관건…정부 지원 절실

전공의 장기 미달 사태로 흔들린 수련 기반 복구도 아직 어렵다.

대한비뇨의학회 박관진 수련이사는 지난 10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수련 병원 대부분 비뇨의학과 정원이 1, 2명에 그친다. 오랜 위기 속에 전임의와 젊은 교수들이 남지 않아 수련의 연속성이 무너지면서 학문적으로 여전히 위기 상태"라고 했다.

학회는 '수련의 선진화'로 위기를 돌파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역량 위주 교육과정 개발에 집중하고 수술과로서 술기 연마를 위한 환경 조성에 집중하고 있다.

로봇수술 도입과 인구 고령화로 노인성 질환 진료 수요가 늘어난 것도 긍정적이다.

박 이사는 "비뇨의학과에서 로봇수술 도입과 연구가 굉장히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비뇨의학과 모든 전공의가 수술로봇을 다룰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을 개발 중"이라고 했다.

박 이사는 "로봇수술은 보험 적용 등 전망이 밝은 분야다. 실제로 로봇수술 도입과 함께 전립선암, 전립선비대증 등 노인환자가 늘면서 비뇨의학과 매출 기여도가 크게 향상됐다"며 "종합병원급에서 3% 정도였던 기여도가 이제 6~8%까지 늘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정형외과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했다.

그러나 정부 지원 없이 과 차원 자구책만으로는 한계라는 것이 비뇨의학과 입장이다.

박 이사는 "비뇨의학과는 외과나 흉부외과와 달리 추가 수당 등 정부의 인센티브 지급 정책에서 오랫동안 제외됐다. 인구 고령화와 함께 노인 비뇨질환 수요는 늘었는데 요양병원 등에서 비뇨의학과 전문의 취직은 여전히 어렵다"며 "PSA검사 일반건강검진 포함과 요양병원의 비뇨의학과 의사 필수 고용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박 이사는 "비뇨의학과 인식이 개선되고 역할이 확대되면서 분명 비뇨의학과에서 미래를 찾는 전공의들이 늘고 있다. 조심스럽지만 앞으로 10년은 과거보다 밝을 것으로 본다"면서 "그러나 전공의 지원 증가라는 이 흐름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으려면 정부 차원의 지원이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고 했다.

조규선 회장 역시 "오랫동안 '저평가 우량주'였던 비뇨의학과의 진가를 알아본 전공의들이 다시 늘었다는 면에서 최근의 흐름은 분명 희망적"이라면서 "그러나 개원가 여건이 확실히 개선되고 전문과의 미래가 보장되지 않는 한 전공의들은 절대 지원하지 않는다. 수가 개선과 정부의 장기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