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학회 홍기종 편집위원장 “시간 걸리지만 국내 백신 신뢰도 높을 것”
고려의대 김기순 교수 “백신 개발력, 국가가 갖고 있는 것 중요해”

코로나. 백신. 생산. CMO. 주사. 약물. 유리병. 공급. 수출. 체결. 계약. 제약. 바이오.
코로나. 백신. 생산. CMO. 주사. 약물. 유리병. 공급. 수출. 체결. 계약. 제약. 바이오.

포스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신종 감염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백신주권’ 확보를 위한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과학기자협회가 지난 9월 30일 개최한 ‘2021과학기자대회’에서 백신 전문가들은 정부가 백신주권 확보를 위해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백신개발에 투자를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에서도 코로나19 백신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나, 현재까지 개발이 완료된 백신은 없는 상황이다.

지난 8월 3상 임상시험 승인을 받은 합성항원 방식의 SK바이오사이언스 백신이 내년 초 시판을 예고해 가장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다.

합성항원 방식의 유바이오로직스 백신과 벡터백신 방식의 샐리드 백신이 각각 2상에 진입해 개발 완료까지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대한백신학회 홍기종 편집위원장(건국대 교수)은 “코로나19 초기 미국 등 과학적으로 앞서 있는 국가에 비해 뒤처지지 않게 (백신 개발을) 시작했고 정부 지원이 이어져 대규모 연구가 시작됐지만 아직 국내서 개발된 백신은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홍 위원장 “우리나라 백신이 왜 아직도 없느냐고 진단할 때 중요한 부분은 백신물질들을 개발·생산해 내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있는 인프라 강화를 지속적으로, 장기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홍 위원장은 “백신 글로벌 허브화 사업을 보면 생산력은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개발 인프라에 해당하는 ‘바이오 펩리스’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며 “이 부분이 강화돼야 지금보다 빠른 속도로, 효율적 속도의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라고도 했다.

국내 백신개발이 속도전에서는 뒤쳐졌지만 신뢰도에서는 더 높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홍 위원장은 “중국이나 러시아는 과학적으로 후진국이 아니다. 우리보다 백신 개발 속도가 빠를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이 만든 백신이 선호도 높게, 신뢰도 높게 사용되고 있냐면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홍 위원장은 “백신 개발은 중국이나 러시아가 우리나라보다 앞설 수 있는 분야지만 어떤 면에서는 신뢰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향후 국내 백신이 출시된다면 중국이나 러시아 백신보다는 더 신뢰도 높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 위원장은 “백신 개발을 위해 시간이 됐든, 돈이 됐든, 인력이 됐든 열심히 쫓아가고 있지만 아직 뒤쳐진다”며 “우리가 열심히 했는데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그것에 대한 답은 시간이다. 국내 회사들이 빠르게 따라가는 상황이다.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국내 백신개발 속도가 더딘 원인이 기초과학 부족이란 진단도 나왔다.

고려의대 미생물학교실 김기순 특임교수
고려의대 미생물학교실 김기순 특임교수

고려의대 미생물학교실 김기순 특임교수는 “코로나19 1년 반이 지나는 동안 괄목할 만한 성과가 없다는 것은 우리가 평소 백신에 대해 소홀히 생각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싶다”며 “이는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이 획기적 효과와 속도를 통틀어 각광받고 있는데 이미 15년 전부터 mRNA에 대해 여러 가지 연구가 돼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가 여태껏 백신개발을 하지 못한 건 아마도 우리가 바이러스에 대해 기본적인 기초과학, 기초연구를 부족하게 했던 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며 “백신 생산시설이나 노하우는 많지만 무엇을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기초과학 수준이 소홀했던 것 같다. 신속하게 백신의 혜택을 보려면 기초과학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실시되고 백신 수급 차질로 접종 일정이 지연됐던 경험에 비춰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해서는 백신주권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교수는 “화이자나 모더나는 백신 회사지만 우리나라 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자국에 먼저 백신 물량을 어느 정도 소비하고 나서 인류애에 비춰 다른 나라에도 주고 있는 상황”이라며 “또 다른 신종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우리 기술력이 그 때도 부족하다면 백신수급에 차질이 빚어지는 이 같은 상황은 또 발생할 수 있다. 백신 개발력을 국가가 갖고 있는 것은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민간업체가 경제성 논리 때문에 백신개발을 주저하는 걸 공공이 커버하기 위해 질병관리청 소속 공공백신개발 지원센터가 지난해 출범했다”며 “이런 정부차원의 백신주권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앞으로도 계속 지속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