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은 최근 온라인으로 개최된 2021년 제 26회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에서 서울성모병원 의료진들이 각종 우수연제상을 휩쓸며 가톨릭혈액병원의 위상을 드높였다고 밝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전경사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전경사진.

서울성모병원에 따르면, 혈액내과 곽대훈 임상강사는 다발 골수종(MM) 환자에서, 자가 이식 전 측정한 근육량이 이식 이후 생존율 예측에 의미가 있다는 독립적인 지표를 제시했다. 김동윤 임상강사는 급성 백혈병의 유전자 단위 예후인자가 밝혀짐에 따라 한국인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맞춤치료를 제공한 사례 및 이식 후 예후 예측 능력 향상을 발표했다.

박실비아 교수는 유도 항암화학 요법 이후 재발 및 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나타나는 환자에게 구제 항암 요법을 실시하며 고강도 항암 요법과 저강도 베네토클락스(venetoclax, 백혈병세포에서 발견될 수 있는 단백질 BCL2 억제제) 혼합요법을 비교한 연구를 통해 저강도 항암 화학 요법의 효율성을 발표했다. 이종혁 임상강사는 조혈모세포이식 후 재발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적절한 공여자가 없는 경우 가족간 절반일치 이식 및 제대혈 이식이 치료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발표했다.

소아청소년과 유재원 교수는 주조직적합성 항원이 일치하는 공여자가 없는 소아 재생불량빈혈환자들이 최선의 대체 공여자를 찾을 수 있도록 이식 후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원인을 분석하여 공여자 선정의 선택의 폭을 넓히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재욱 교수는 소아에게 드물게 나타나는 백혈병 종류인 연소기골수단구백혈병에서 확인되는 유전자 변이 및 치료 성적에 대한 발표를 했다. 유 교수와 이 교수는 각각 구연 부문 우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혈액내과 박성수 교수는 급성 백혈병으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국내 환자 3,809명의 빅데이터를 포함한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존 예후와 치료 관련 사망률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해 환자의 위험도를 계산한 연구를 발표하여 포스터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한편,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KSBMT)는 1996년 설립되어 2017년 이후 매년 국제조혈모세포이식학회(ICBMT,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BMT)를 개최하며, 고난도 조혈모세포이식 및 각종 줄기세포 관련 연구 교류의 장이 되고 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