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전문위 ‘신속항원검사키트 사용 권고문’ 발표
“자가검사키트 사용 권고하지 않는다” 철회 요구
“간이키트로 전염병 검사, 방역체계 허점으로 작용”

대한의사협회는 7일 '신속항원검사키트 사용에 대한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 권고문'을 발표했다. 
대한의사협회는 7일 '신속항원검사키트 사용에 대한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 권고문'을 발표했다.

대한의사협회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를 일반 국민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조치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4차 유행이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지 않는 원인 중 하나가 무분별하게 자가검사키트를 사용해 방역체계를 교란시켰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신속항원검사를 기반으로 한 자가검사키트는 낮은 민감도로 인해 위음성(가짜음성)이 나올 확률이 높아 선별검사용으로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아왔다.

의협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는 7일 “코로나19 4차 유행 원인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신속항원검사키트의 오남용에 대한 문제가 확인됐다”며 신속항원검사키트 사용 권고문을 발표했다.

의협 코로나19전문위는 권고문을 통해 신속항원검사키트는 의료기관에서 유증상자를 대상으로 사용하도록 권고했다. 거동이 불편하거나 오지, 교도소 등 특수한 상황에서는 신속항원검사키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검체 채취, 검사 시행과 결과 해석 과정에서는 의료진의 지도·감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반 국민이 개별적으로 신속항원검사키트(자가검사키트)를 사용하는 것은 권고하지 않는다며 이를 철회해야 한다고 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검체 채취 문제, 검사방법 오류, 결과 값 판독 오류, 결과 후 판단과 대처, 검사 오남용으로 잘못된 안도감, 2차 피해 등을 야기해 방역체계의 허점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의협 코로나19전문위는 의료인이 아닌 비의료인이 채취한 검체로 코로나19 검사를 했을 경우 민감도가 더 낮다고 지적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자가 채취한 비강검체로 PCR 검사를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대상자 730명 중 무증상자 민감도는 50%, 유증상자 민감도는 87%였다. 1,076명을 대상으로 한 검사에서는 무증상자와 유증상자 민감도가 각각 44%와 62%로 나타났다.

신속항원검사는 의료인이 채취한 검체에서도 낮은 민감도를 보였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가 신속항원진단키트를 검증한 결과, 인구집단 추정 민감도는 41%였으며 서울대병원이 실시한 연구에서도 응급실 내원 환자의 민감도는 17.5%였다. 이는 의료진이 채취한 비인두도말 검체로 실시한 검사 결과였다.

출처: '신속항원검사키트 사용에 대한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 권고문'
출처: '신속항원검사키트 사용에 대한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 권고문'

의협 코로나19전문위는 “자가검사의 성능을 평가하는 가장 좋은 연구는, 실제 상황에서 표준검사와 1대 1로 성능을 비교하는 전향연구이며, 이러한 전향연구에서 무증상자의 민감도가 낮은 것은 이미 보고돼 있다”며 “우리나라처럼 코로나19 환자가 적은 경우 심각한 민감도 저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지적했다.

의협 코로나19전문위는 이어 “특정 집단에서 상당수의 사람이 코로나19가 의심되는 특수한 상황에서는 (자가검사키트가) 유용할 수도 있지만 낮은 민감도로 인한 위음성이 얼마인지는 전혀 파악할 수 없었으며, 양성률도 낮아 효율성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고 했다.

의협 코로나19전문위는 “민감도가 낮은 검사법을 국민이 안심하고 사용하도록 ‘검사키트’라는 용어를 사용해 무증상자를 포함한 다수를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데 우려를 표한다”며 “정상 상태인 임신 진단키트와 병원성 높은 전염병 진단키트는 다르다”고 꼬집었다.

의협 코로나19전문위는 “코로나19 같이 전염성 질환의 진단을 간이키트를 사용해 국민 개인에게 진단검사를 하게 하는 것은 결과 판독, 결과를 얻은 뒤의 향후 조치에 대한 책임과 경제적 부담을 개인에게 넘기는 일”이라며 “실제 현실에서 결과의 정확도 저하, 위음성의 경우 잘못된 안도감을 주게 되어 2차 피해 발생 가능성, 양성을 보인 경우 심리적 혼란으로 인한 회피 등이 발생해 국가 전염성 질환의 방역체계에 큰 혼란을 줄 수 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