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이혁민 교수 "지금 상태론 다음 팬데믹 대응 장담 못해"
민·관 협력 기반 관리 체계 강화하고 인프라 투자로 역량 확대해야
원인 병원체 조기 분석하고 진단법 개발 가능한 시스템 마련 필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종식 후에도 새로운 팬데믹이 찾아올 거란 예측이 높아지는 가운데 신종 감염병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검사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점검과 재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혁민 교수는 지난 2일 열린 대한임상미생물학회 학술대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가 민·관 협력 하에 국가 검사 시스템을 빠르게 갖추면서 코로나19 대응에서 좋은 성과를 얻었다고 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찾아올지 모르는 새로운 감염병 위기 사태 '팬데믹X'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검사 시스템 전반에 걸쳐 장기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는 질병관리청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및 유관 기관 사이에 협력이 빠르게 진행됐다. 긴급사용승인제도(EUA)를 통해 대규모 검사 능력을 조기 도입한 것이 코로나19 방역에서 압도적인 성과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번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이 아무리 훌륭했다 하더라도 그 다음에 올 '팬데믹X' 대응은 검사 역량을 얼마나 이어갈 수 있느냐로 결정된다. 현재의 코로나19 검사 체계를 한층 더 고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2일 진행된 대항님상미생물학회 학술대회에서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혁민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찾아올 '팬데믹X'에 대응하기 위해 검사실 체계 구축을 포함한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사진 출처: 임상미생물학회 학술대회 온라인 영상 캡처).
지난 2일 진행된 대항님상미생물학회 학술대회에서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혁민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찾아올 '팬데믹X'에 대응하기 위해 검사실 체계 구축을 포함한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사진 출처: 임상미생물학회 학술대회 온라인 영상 캡처).

이 교수는 "검사실 인증 제도, 검사실 질관리 제도 같이 지속적인 관리 체계를 기본으로 이제 생물 안전 시설·인적 자원·병원체 규명 기술 개발 같은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1차적으로 의료기관 스스로 시스템 혁신에 노력해야겠지만 결국 법적·제도적 근거 마련과 지원은 국가가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와 함께 신종 감염병 사태의 단초가 되는 원인 불명 중증 감염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실 감시 체계 도입도 제안했다. 검사실 역량을 키우기 위해 한층 더 강화된 민·관 협력 체제를 만들자는 것.

이 교수는 "이런 일련의 준비 과정을 통해 원인 병원체를 규명하는 진단법을 선정하고 개발 진단 역량을 확대해야 팬데믹X를 제대로 상대할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과 김미나 교수는 코로나19 사태 초기 원활하던 민·관 협력 시스템이 현재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19 극초기 민·관 협력 하에 긴급사용승인제도를 통해 많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 그러나 팬데믹이 장기화되는 과정에서 더 다양한 진단 시스템이 개발돼야 하는데 오히려 이런 시스템이 초기보다 잘 돌아가지 않아 일선 기관의 우려가 크다"고 했다.

이혁민 교수 또한 "긴급사용승인제도 역시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다. 주도 기관이 질병청에서 식약처로 옮겨가는 과정에서도 많은 혼선이 빚어졌다. 승인과 진단 부분에서 노출된 문제점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