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자살자 심리부검 결과 발표…88.4%, 생전 우울증 등 앓아

[청년의사 신문 곽성순] 2015년 심리부검 분석결과 자살자들은 사망 전 어떠한 형태로든 자살 경고신호를 보내지만, 가족들 대부분이 이러한 경고신호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음주문제, 경제적 문제 등 다양한 위험요인을 복합적으로 경험할 때 자살에 이르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6일 2015년 심리부검 결과보고회를 통해 심리부검 결과를 발표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예방을 포함한 종합적인 정신건강증진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심리부검 대상자들은 2015년에 중앙심리부검센터로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 경찰 등을 통해 의뢰됐거나 유가족이 직접 심리부검을 의뢰한 자살사망자들로, 전체 대상자 121명 중 2015년에 사망한 사람이 56명(46.3%)으로 가장 많았고, 2014년 사망자 19명(15.7%), 2013년 사망자 19명(15.7%), 2012년 이전 사망자가 27명(22.3%)이었다.

또한 이번 심리부검은 20세 이상의 성인을 분석했는데, 20대 18명(14.9%), 30대 26명(21.5%), 40대 27명(22.3%), 50대 27명(22.3%), 60대 이상 23명(19.0%)으로 연령대별로 균등하게 분포돼 있다.

주요 심리부검 결과를 살펴보면 사망자의 93.4%가 사망 전 언어·행동·정서변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경고신호를 보냈다.

그러나 유가족의 81.0%는 자살자의 사망 전 경고신호를 알아차리지 못해 적절한 도움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자의 정신건강 문제와 관련해서는 정신건강전문가의 구조화된 면담, 정신과 치료 이력 확인 등을 통해 사망자 생전의 정신건강 문제를 추정했는데, 전체 심리부검 대상자 중 88.4%가 정신건강에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중 우울장애가 74.8%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높은 정신질환 유병률에도 불구하고 정신질환이 있는 사망자 중 사망 직전까지 약물치료를 꾸준히 받은 비율은 15.0%에 불과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상태에서 자살에 이른 경우가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자살이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지만, 심리부검 대상자 중 사망 한 달 이내에 정신의료기관이나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이용한 사망자는 전체의 25.1%에 불과했다.

오히려 복통 등 신체적 불편감이나 수면 곤란 등에 대한 대증적인 치료를 위해 1차 의료기관, 한의원 등에 방문했던 경우(28.1%)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 당시 음주상태인 자살자는 39.7%였으며, 과다 음주로 대인관계 갈등이나 직업적 곤란, 법적 문제가 있었던 사람은 전체 대상자의 25.6%였다.

이 외에도 사망자 본인 외 가족이 과다 음주, 주폭 등의 알코올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53.7%로 매우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어, 국내 자살 예방을 위해서는 알코올의 유해한 사용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 당시 가족 중 자살을 시도하거나 자살로 사망한 사람이 있는 비율은 28.1%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살자들 역시 가족을 자살로 잃은 자살 유가족이었음을 감안할 때, 자살 유가족에 대한 애도 개입 및 적극적인 심리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차전경 과장은 “심리부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까지 이르는 길목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세심한 자살예방대책을 추진할 것”이라며 “심리부검을 확대 실시해 자살원인에 대한 분석을 지속 실시하고, 자살 유가족에 대한 심리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차 과장은 “전국민 정신건강증진, 우울증 등 정신질환 조기발견·치료 활성화 및 자살예방 등의 내용이 포함된 중장기적인 범부처 차원의 정신건강증진종합대책을 2월 중 수립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