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모란 교수, 시나리오별 유행 추이 분석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필요”

수도권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하지 않으면 한 달 뒤에는 하루 신규 확진자가 800명 이상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 기모란 교수(예방의학)는 12일 경기도 고양시 명지병원에서 열린 제2회 고양의료발전포럼에서 ‘코로나19 2차 대유행 예측모델과 대응전략’에 대해 발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번 포럼은 청년의사 유튜브 채널 ‘K-헬스로그’에서 생중계됐다.

기 교수에 따르면 최근 국내 코로나19 감염재생산수(reproductive number, R)가 증가했다. R은 환자 1명이 몇 명에게 전파시키는지를 나타낸다.

지난 3월 14일부터 4월 29일까지 평균 0.45이던 R은 4월 30일부터 6월 11일까지는 평균 1.79로 증가했다. 코로나19 환자 1명이 1.79명을 감염시킨다는 의미다. R이 1보다 낮으면 확진자가 감소하고 1보다 높으면 증가한다.

기 교수는 방역 조치에 따른 코로나19 확진자 수 변화를 예측했다.

R이 현재와 같은 1.79 수준으로 유지되면 2주 뒤인 6월 25일에는 하루 신규 확진자가 254명으로, 누적 확진자는 총 1만3,403명으로 증가한다. 그리고 한달 뒤인 7월 9일에는 하루 확진자가 826명까지 증가하며 누적 확진자는 2만486명이 된다.

R을 현재 대비 25% 감소해 1.34로 줄이면 2주 뒤에는 하루 신규 확진자 146명, 누적 확진자 1만2,820명으로 증가한다. 한 달 뒤인 7월 9일에는 하루 신규 확진자가 254명까지 증가하며 누적 확진자도 1만5,608명으로 추계됐다.

하루 신규 확진자를 한 자릿수로 줄이려면 R을 현재의 50%인 0.86으로 감소시켜야 한다. R이 0.86으로 감소하면 현재 50명대인 하루 확진자는 2주 후 23명으로 준다. 그리고 한 달 후에는 4명까지 감소한다. 누적 확진자도 1만2,092명이다.

출처: 국립암센터 기모란 교수

개인별 하루 접촉자 최소화 방안 찾아야
치료뿐 아니라 예방도 급여 적용 필요

기 교수는 “우리가 원하는 하루 확진자 한 자릿수가 되려면 R을 현재 대비 50% 줄여야 한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서 사람 간 접촉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며 “그렇게 해도 한 달 후에야 하루 확진자가 4명으로 떨어진다. 현재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기 교수는 “코로나19 2차 유행에 대비해 지금 시작해야 하는 것은 장기전 준비다. 장기전에 대비하려면 지금까지 해 왔던 것들을 복기하고 평가하고 대안을 마련해서 시행해 본 뒤 미세 조정하고 안착하는 단계로 가야 한다”며 “감염병에 대해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팀도 있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이런 일을 하는 공공기관이 없다”고 지적했다.

기 교수는 이어 “2차 대유행이 오면 확진자가 몇 백만명이 발생할 수 있다. 지금처럼 의사만 코로나19 검사를 해서는 감당하기 힘들다. 검사 인력을 확대하고 자가 검사도 고려해야 한다”며 “개인별로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하기 위해 하루 접촉자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국립암센터 기모란 교수는 12일 경기도 고양시 명지병원에서 열린 제2회 고양의료발전포럼에서 ‘코로나19 2차 대유행 예측모델과 대응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장기전을 위해 의료인력 양성 방안과 의료전달체계 개편에 대한 논의도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기 교수는 “개원가는 의사가 많고 대도시 지역은 과다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한다. 대도시 인구 10만명당 개원의사 수를 제한하는 방안 등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3년인 공중보건의사 복무 기간을 줄이고 필요하다면 여자도 공중보건 분야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국가가 의사를 양성하는 데 돈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기 교수는 이어 “단골의사, 주치의 등 1차 진료 의사를 활성화하고 비대면 의료도 결국은 활성화되는 쪽으로 갈 수밖에 없다”며 “방문의료, 방문검사. 약배달, 방문간호와 연계해 의료전달체계를 개편해야 한다”고 했다.

기 교수는 “질병관리본부를 질병예방관리청이나 처로 개편해 대응과 방역만 하던 조직에서 예방 업무까지 같이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국민건강보험공단도 치료만 급여로 인정하고 있지만 예방 분야로도 급여를 하루 빨리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