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도 MLB 종사자 1만명 등 참여하는 항체검사 진행…의료인 대상 항체검사 필요성 제기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전을 위해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이는 항체검사를 실시한 뒤 결정해야 한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일부 집단을 표본으로 삼아 항체검사를 하고 실제 감염률, 항체 형성률과 지속기간 등을 분석한 뒤 그 결과에 따라 생활방역 체제 전환을 결정해야 코로나19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생활방역은 일상생활 속에서 감염 예방과 전파차단 등 방역 활동을 병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에서는 이미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 항체 형성률, 실제 감염률 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스탠퍼드대학, 남가주대학, 스포츠의학연구검사실험실(SMRTL) 연구진은 미국 전역에 걸친 표본을 대상으로 항체 검사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27개 구단 종사자 1만명이 항체 검사를 받기로 해 화제가 됐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항체 형성률이나 지속기간 등을 파악하기 위해 표본집단을 정해 항체검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항체율 조사한 후 단계적으로 풀어야”

국내 감염내과학 창시자로 불리는 명지병원 감염내과 최강원 교수는 지난 14일 청년의사 유튜브 채널 K-헬스로그 ‘코로나 파이터스 라이브’(코파라)에 출연해 국내에서도 일부 집단을 대상으로 한 항체검사가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일일 신규 확진자가 50명 미만으로 떨어진 게 6일째로 굉장한 성과다. 하지만 이같은 결과는 면역을 획득한 사람이 많아서 병에 걸리지 않는 게 아니라 사회적 거리두기에 의해 확산이 덜 되고 있는 것”이라며 “사회적 거리두기를 포기하거나 성급하게 해제하면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생활방역 체계 전환을) 굉장히 조심해서 해야 하고 준비도 해야 한다”며 “주민들 중 면역을 가진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조사해서 단계적으로 풀어나가는 게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대한병원협회 코로나19비상대응본부 이왕준 실무단장(명지병원 이사장)은 “생활방역 체계로 바로 전환하지 말고 특정 구나 시를 대상으로 항체검사를 실시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무증상 감염으로 (코로나19가) 지나간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지역사회 감염 양상은 어떻게 되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단장은 “항체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완급을 어떻게 조절할지 등을 정해가야 한다”고도 했다.

의료인 대상 항체검사 필요성도 대두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엄중식 교수도 지난 10일 코로나 파이터스 라이브에 출연해 “지역이나 연령별로 어느 정도 코로나19 항체를 가졌는지를 파악하는 게 향후 전략을 세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19 항체를 가졌는지 등에 따라 현재의 대응전략, 앞으로의 대응전략이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엄 교수는 특히 의료진을 대상으로 항체검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항체검사는) 특히 의료진에게 필요할 것 같다. 의료진은 항체를 갖고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업무를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도 항체검사 필요성을 인지하고 검사법을 구축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지난 9일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당국도 코로나19 연구와 함께 항체검사법을 현재 구축하고 있다”며 “코로나19는 신종 감염병이라서 감염 이후 항체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항체가 어느 정도 지속하는지, 항체가 재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지 등의 세부 정보가 아직 정확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