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최준용 교수팀, 중증환자 2명에 혈장치료…1명은 완치해 퇴원
“상태 좋지 않았지만 부작용 없이 치료…혈장 치료 시스템 구축 필요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완치자의 혈장을 이용해 중증환자 치료에 성공한 사례가 나왔다. 완치자의 혈장을 이용한 치료는 이미 사스(SARS)나 메르스(MERS), 에볼라 바이러스, 조류 독감 등 신종 감염병에 사용된 바 있다.

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최준용 교수팀은 7일 위중한 코로나19 환자 2명을 대상으로 완치자의 혈장을 주입한 결과, 치료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혈장치료를 받은 중증환자 2명은 모두 완치됐으며, 그 중 1명은 퇴원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발열과 기침 증상을 보이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71세 남성 A씨는 말라리아 치료제와 에이즈 치료제로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았지만 상태가 좋아지지 않아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송됐다.

도착 당시 A씨의 호흡 속도는 분당 30회 이상(정상 성인의 경우 20회 이하)으로 흉부 엑스레이(X-ray) 검사에서도 양측 폐 모두 심각한 폐렴 증상을 보였다.

A씨가 혈장치료를 받기 전(좌)과 후(우)의 흉부 X-ray 영상. 혈장치료 후 폐렴 등으로 뿌옇게 보이던 폐가 나아지고 있다(사진제공: 세브란스병원).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인공호흡기를 부착했지만 상태는 좋아지지 않았다. 염증수치를 나타내는 C-반응성단백(CRP)의 경우 172.6mg/L(정상은 8mg/L 미만)까지 상승했다.

연구팀은 완치 판정을 받고 2주가 지난 남성의 회복기 혈장 500ml를 A씨에게 12시간 간격으로 두 번에 걸쳐 투여했고, 동시에 스테로이드 치료도 시작했다.

혈장 치료와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은 A씨는 열이 떨어졌으며, CRP는 정상범위인 5.7ml/L로 감소했다. 흉부 엑스레이 검사상 양측 폐도 더 이상 나빠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혈장을 투여 받는 동안 특별한 부작용도 없었다. 현재 A씨는 인공호흡기를 제거하고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으로 판정돼 완치됐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두 번째 환자에서도 혈장 치료가 효과가 있었다. 기저질환으로 고혈압이 있던 60대 여성인 B씨는 고열과 근육통으로 코로나19 진단을 받으며, 진단 3일째부터 호흡 곤란으로 산소요구량이 높아지면서 왼쪽 폐 상태가 나빠져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송됐다.

B씨 역시 김씨와 마찬가지로 혈장치료 후 폐 곳곳에 보이던 폐렴 증상이 개선됐다(사진제공: 세브란스병원).

이송 당시 B씨의 호흡 속도는 분당 24회, 산소 포화도는 산소 투여에도 93%(일반 평균 95% 이상)로 확인됐으며, 면역결핍(림프구감소증)과 함께 CRP 역시 314mg/L까지 상승했고, 심각한 호흡 곤란 증세로 인공호흡기를 부착했다.

연구팀은 B씨에게도 말라리아 치료제와 에이즈 치료제를 투여했고, 산소 수치를 높이기 위해 몸을 뒤집는 치료를 시도했지만 림프구감소증과 고열이 지속됐다. 스테로이드 치료에도 불구하고 림프구감소증이 지속되고 바이러스 농도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B씨에게 완치자의 회복기 혈장을 12시간 간격으로 두 번에 걸쳐 투여 했다.

혈장 투여와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한 후 림프구수가 회복되고 바이러스 농도가 감소했다. 흉부 엑스레이 검사 결과, 폐에서 발견되던 침윤도 좋아졌으며, CRP도 정상 수준으로 회복됐다. B씨는 완치된 후 3월 말 퇴원했다.

최준용 교수는 “두 환자 모두 회복기 혈장 투여와 스테로이드 치료 후 염증 수치, 림프구수 등 각종 임상 수치가 좋아졌다”며 “중증 폐렴을 치료하기 위해 바이러스 증식과 과도한 염증 반응을 모두 잡아야 하는데 스테로이드 치료는 염증 반응을 호전시키지만 바이러스 증식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회복기 혈장 속에 있는 중화 항체를 통해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 같이 들어가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런 조합이 위중한 코로나19 환자에게 시도될 수 있다”면서 “혈장치료가 부작용이 있고 대규모 임상시험이 없어 과학적인 증거는 충분하지 않지만 항 바이러스 치료 등에 효과가 없는 중증 환자들에게 스테로이드 등의 치료와 병행할 수 있는 치료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완치자들로부터 혈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혈장 기증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혈장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며 “혈장 기증자를 모집하고 혈장을 확보해 적절히 배분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JKM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신호(Use of Convalescent Plasma Therapy in Two COVID-19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Korea)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