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박성호 교수팀, SREBP2 단백질의 대식세포 활성 조절 사실 규명

류머티즘 같은 자가면역 질환을 앓는 만성염증 환자의 상처를 빠르게 치유하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았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박성호 교수는 미국 정형외과 전문병원 HSS(Hospital for Special Surgery) 연구진과 함께 ‘SREBP2’라는 단백질이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대식세포의 역할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SREBP2는 그동안 세포의 콜레스테롤 대사를 조절하는 물질로 알려졌다.

상처는 염증세포가 유해균을 잡고 손상 부위를 재생하면서 치료된다. 이때 활약하는 면역세포가 대식세포다. 하지만 만성 염증 환자는 대식세포에 의한 재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

대식세포는 상처 재생 초기에 염증 반응을 일으켜 들어온 유해균을 죽이고, 후기에는 상처 부위 재생을 돕는다. 이 과정에서 대식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염증세포를 불러들이는 염증매개인자인 TNF(종양괴사인자)가 쓰인다.

대식세포의 활성 상태 조절을 위한 후기 염증 반응과 SREBP2의 역할(제공:UNIST)

하지만 TNF에 의한 대식세포 활성화 반응은 주로 염증 초기를 중심으로 연구돼 염증 후기 재생 메커니즘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염증 후기 반응으로 갈수록 TNF에 의해 SREBP2 단백질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규명됐다.

SREBP2는 염증성 표적 유전자에 결합하면서 대식세포에 의한 염증 반응을 지속적으로 일으켜 상처 회복을 더디게 한다는 점도 알아냈다.

UNIST 박성호 교수

또한 SREBP2 단백질 생성을 국소적으로 억제한 쥐와 대조군 쥐의 피부에 상처를 내고 재생속도를 비교한 결과, SREBP2 단백질 생성을 억제한 쥐의 상처 회복이 빨랐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로 콜레스테롤 대사를 조절한다고 알려진 SREBP2 단백질의 새로운 기능을 알아내고 상처 치료 메커니즘을 밝혔다”며 “향후 자가면역질환자의 상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표적 물질을 발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The Cytokine TNF promotes transcription factor SREBP activity and binding to inflammatory genes to activate macrophages and limit tissue repair.’라는 제목으로 면역 분야 세계적인 권위지인 이뮤니티(Immunity)에 8월 20일자로 게재됐다. 연구수행은 미국국립보건원(NIH)과 미국 피부경화증재단(SFI)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