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과기부,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 착수

정부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개발에 3년간 258억원을 투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개발을 위해 인공지능·신약 개발 전문가로 이루어진 6개 연구팀과 운영관리기관을 구성, 향후 3년간 258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후보물질 도출, 임상시험 등 신약개발 단계별로 맞춤형 인공지능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기술개발 효과가 가장 좋을 것으로 판단되는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스마트 약물감시 등 3개 분야를 선도적으로 개발한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신약 개발 첫 단계인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을 돕는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을 위해 주식회사 아론티어, 중앙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화여대 등 4개 팀이 연구를 수행한다.

아론티어는 서울아산병원 유전체 데이터, 간(肝) 오가노이드 실험 데이터를 활용해 폐암·뇌암 등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개발하며, 중앙대는 한국화학연구원의 화합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퇴행성 뇌질환에 특화된 플랫폼 개발을 수행한다.

대구경북첨복재단은 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의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모델을 만들고, 유한양행의 화합물 데이터를 활용한 표적 항암제 개발 플랫폼 구축을, 이화여대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한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이미 개발된 의약품을 활용하는 신약 재창출 지원 연구도 진행된다.

재창출된 신약의 경우 기존의 임상 허가를 통해 안전성이 검증됐던 약품인 만큼 추가 임상기간이 짧아 저비용 고효율의 장점이 있다.

신약 재창출 플랫폼 개발을 위해 한국과학기술원 연구팀은 기존 약물 작용기전을 모사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 검증 등을 통해 플랫폼을 발전시킬 예정이다.

또한 의약품 시판 후 이뤄졌던 기존 사후적·수동적 약물 감시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서울아산병원은 면역항암제 빅데이터를 집중 학습한 인공지능을 통한 약물 이상 반응의 조기 예측 시스템을 구축한다.

한편 정부는 이번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신약개발 기간을 현행 15년에서 7년으로 최대 절반까지 축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개발된 플랫폼은 연구자·기업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이며, 사업 종료 후에도 연구기관이 소유권을 보유해 플랫폼이 최신화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과기부 고서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향후 몇 년이 우리에게는 신약개발 분야의 새로운 도약의 시기가 될 것”이라며 “신약개발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적극 지원해 바이오헬스 분야의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