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10곳 중 8곳 경증환자 중심의 1~2개 병동 운영…"간호사 배치기준 유지 어려워"

정부의 보장성강화 정책으로 추진되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정책이 간호인력 부족으로 인해 좌초될 위기에 놓였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확대추진에 앞서 간호인력 배치 강화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병원 42곳을 대상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운영하는 병원은 37곳(88.09%)으로 이들 병원 가운데 78.37%(29곳)가 1~2개의 병동만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2개 병동을 운영하는 병원이 16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1개 병동 운영 병원은 13곳, 3개 병동 운영 병원은 4곳, 7개 병동 운영 병원은 3곳, 5개 병동과 6개 병동 운영 병원은 각각 1곳뿐이었다.

부천성모병원이 7개 병동(322병상)을 운영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가장 많이 운영하고 있으며, 고대의료원(안암·안산·구로 포함)이 7개 병동(283병상), 국립중앙의료원이 7개 병동(269병상), 가천대길병원이 6개 병동(306병상), 국립암센터가 5개 병동(220병상)으로 뒤를 이었다.

보건의료 노동자들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운영의 이점으로 전인간호 실현, 전문적 간호서비스 제공, 응급상황 시 발 빠른 대처, 쾌적한 병실 환경, 감염관리의 효율성 증대, 간병비 부담 감소, 환자만족도 증가, 보호자들의 만족도 증가 등을 꼽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확대되지 못하는 이유로는 간호사 인력부족과 수급난을 원인을 꼽았다. 간호사의 잦은 이직과 수급난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인력 배치기준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게 보건의료노조의 지적이다.

이와 함께 ▲야간전담자가 월 15일간 야간근무를 해야 하는 부담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 기피 ▲1~2개 병동에 여러 진료과 환자들이 섞여 운영되다 보니 업무부담 상승 ▲간호조무사나 병동지원인력을 비정규직으로 채용해 고용이 불안한 점 ▲직종 간 업무부담이 명확하지 않은 점 등이 문제로 지적됐다.

보건의료노조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확대하고 싶어도 간호사가 없어 그러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고 사직한 간호사 대체인력을 구하지 못해 병동을 운영하다 폐쇄하는 경우도 있다”며 “안전사고 위험 때문에 중증도가 낮은 환자 중심으로 운영하다 보니 병상수를 채우지 못해 결국 병실가동률이 낮아져 서비스 병동을 확대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보건의료노조는 ▲간호인력 부족과 수급난 해결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 ▲1~2개 병동 단위가 아닌 병원 단위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 추진전략 수정 ▲환자질환별, 중증도별 간호인력 배치기준 상향 조정 ▲직종별 명확한 업무 구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인력 정규직으로 채용 의무화 ▲간호사와 보조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교육 실시 ▲시설 개선을 위한 예산 지원 및 환자 개인 간호용품 수가 반영 등을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정부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확대를 위한 사회적 협의체를 구성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병동 운영을 확대하는데서 나타나는 어려움과 문제점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현장을 실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부터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