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건선협회, "의료진 64.2%, 환자에 동반증상에 대한 질문 안해"

국내 건선 환자의 86%가 건선 관절염 및 손발톱 건선 증상을 경험했지만, 주요 동반 증상에 대한 의료진의 치료와 관리를 위한 대응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건선협회는 건선 환자 49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건선 및 건선 관절염에 대한 이해 및 치료 환경 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건선은 피부 표피의 과도한 증식과 진피의 염증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난치성 피부 질환이다. 전세계 인구의 약 1~2%가 환자일 정도로 비교적 흔한 질환이고,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내에도 건선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2017년 기준 약 17만명에 달한다.

특히, 건선은 피부뿐만 아니라 전신의 염증 반응을 유발해 당뇨병 등 대사성 질환과 고혈압, 심근경색, 심부전 등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높이고, 다른 자가면역질환을 동반하는 경우도 많다.

그중 건선 관절염은 건선 환자에게 가장 흔한 동반질환으로 건선 환자 10명 중 3명은 건선 관절염을 동반할 수 있다. 더불어 손발톱에 건선이 있는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 대비 건선 관절염을 동반하거나 건선 관절염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3배 가량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건선 환자의 진료시 특수 부위 건선으로는 가장 흔한 두피 증상과 건선 관절염의 진단을 위해 손발톱 증상을 묻는 경우가 가장 많다"고 분당차병원 피부과 김동현 교수는 설명했다.

이번 대한건선협회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건선 환자의 86%의 환자는 건선 관절염 관련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증상 경험은 하지 않았다고 답한 경우는 14%에 불과했다.

건선 관절염의 구체적인 증상으로 40% 응답자가 손톱이나 발톱에 구멍이나 안쪽으로 함몰된 부위가 있다고 답했고, 32.9%는 손가락이나 발가락 관절의 통증을 경험했고, 27.5%는 손가락 또는 발가락 관절이 붓는 증상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또한 30.9%는 아침에 일어나 관절이 뻣뻣한 적이 있으며, 21.8%는 발뒤꿈치의 통증을 경험했다.

대다수의 건선 환자들이 건선 관절염 증상을 경험했다고 답했는데, 실제로 다수의 환자들이 건선 관절염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다. 68.5%의 건선 환자 응답자들이 건선 관절염이 건선의 주요 동반질환임을 알고 있다고 답한 것이다.

이 중 여성 환자(77.5%)가 남성 환자(69.3%) 대비 건선 관절염에 대해 더 잘 인지하고 있었다. 다만, 60대 이상 환자 중 55.3%만이 건선 관절염이 건선의 주요 동반질환임을 인지하고 있었는데, 이는 타 연령대에 비해 낮은 인식 수준이었다.

또한 건선을 오래 앓고 증상이 심할수록 건선 관절염도 심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 건선 환자와 경증 건선 환자는 건선 관절염 증상 경험 정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절반 이상의 중증 환자 응답자(50.8%)가 손발톱에 구멍이나 함몰된 부위가 있다고 답한 반면, 경증 환자는 열명 중 세명 정도만(31.4%) 함몰 부위를 경험했다.

손발가락 관절 통증을 경험한 중증 환자는 40.8%였으나, 경증 환자는 26.1%였다. 손발가락 관절이 붓는 증상 경험 역시 중증 환자는 35%였고, 경증 환자는 17.6%로 나타나는 등 중증 건선 환자는 경증 건선 환자에 비해 2배 가까이 건선 관절염 증상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처럼 많은 건선 환자들이 건선 관절염 증상을 경험하고 건선의 주요 동반 질환임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증상에 대한 치료와 관리를 위한 대응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3.8%만이 '의사가 건선 관절염 증상을 매번 물어본다'고 답했고, 26.5%는 '가끔 물어본다', 64.2%는 '전혀 물어보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또한, 환자가 의사에게 관련 증상을 설명하거나 질문한 경우도 22%에 불과했다. 건선 관절염 증상을 더 많이 경험하는 중증 건선 환자의 경우도 30%만이 의사에게 관련 상담을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건선협회 김성기 회장은, "조사 결과 많은 건선 환자들이 건선 관절염 증상이 있지만 치료와 관리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며, "앞으로 대한건선협회도 건선 환자들을 대상으로 건선 관절염의 증상과 위험도를 적극적으로 알려 적절한 진단과 치료로 환자들이 삶의 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