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인공지능 신약개발지원센터 개소식서 전폭적인 지원 약속

정부가 새롭게 문을 연 '인공지능 신약개발지원센터'에 "과감하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주문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20일 서울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인공지능 신약개발지원센터 개소식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인공지능 신약개발지원센터 현판식(사진제공: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공동 설립한 인공지능 신약개발지원센터는 지난 2017년 12월 인공지능 신약개발지원센터 추진단을 출범하고 2018년 2월 업무협약 체결 등 센터 설립을 위한 1년 이상 준비 끝에 20일 개소했다.

개소식에는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회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영찬 원장을 비롯한 관련 단체장, 그리고 제약 및 인공지능(AI) 업체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날 개소식에 참여한 원희목 회장은 "지난해 인공지능 신약개발지원센터 추진단 발족 이후 산업계의 수요조사를 토대로 AI 기업과 매칭하는 역할을 수행했고, 국내 최초로 AI 파마 코리아를 성황리에 개최해 전 세계 AI 기술 동향을 공유하기도 했다"며 "이 노력으로 만들어진 센터는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오픈 이노베이션 등 최신 연구를 공유하고, 개발 역량을 개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 신약개발센터 설립 추진단 TFT 권진선 박사(일동제약)는 "작년 초 관련 학회를 다녀본 결과 전 세계적으로도 AI를 신약에 활용하는 것이 시작 단계이며, 서로 신뢰가 부족해 아직 힘들겠다고 느꼈는데, 올해는 상호 신뢰가 어느정도 확보돼 검증 단계로 들어섰다. 단기간에 급속히 발전한 이유는 글로벌 제약사를 중심으로 협력 구조가 탄탄하게 형성됐기 때문"이라며 "한국도 센터를 중심으로 협력 구조를 잘 구축한다면 글로벌 못지 않게 빠른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센터는 일본의 사례를 벤치마킹했다. 일본은 정부산하연구소인 이화학연구소 주도 아래 IT·제약 등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등 100여개 기관이 참여하는 협력 컨소시엄(LINC)을 구성해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일본 정부는 약 1100억원을 지원했다.

산업계가 테마를 제안하면 IT업계가 신약개발 AI를 개발하는 방식이다. 일본은 신약개발에 AI를 도입하면, 시간과 비용을 절반 이상 줄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한국 정부도 후보물질 발굴, 전임상시험, 스마트 약물감시 등 신약개발 전 단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 AI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오는 2021년까지 총 277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 중 신약개발 AI 플랫폼 구축에 75억원, 교육 및 홍보 사업에 1억6,000만원이 각각 투입된다.

이동호 신약개발지원센터장은 "센터의 역할은 정부 지원으로 기존 정부 출연기관이나 아카데미 등 원천 기술을 활용하고, 플랫폼 밸리데이션을 중립적인 환경에서 제공하며, 회원사가 갖고 있는 데이터를 통해 플랫폼 개발에 협력하도록 하는 것"이라며 "올해는 AI 활용을 위해 교육과 홍보를 병행하고 국내외 AI 신약개발 플랫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센터 사업 계획을 들은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과감한 실행을 센터에 당부했다.

박 장관은 "업무 추진 계획을 들어본 결과 아직 인공지능 신약개발은 굉장히 초기 단계"라며 "개별 기업이 갖고 있는 데이터를 활발히 공개·공유하고, 기본 데이터를 집적하는 등 해야 할 일이 굉장히 많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이어 "센터가 좀 더 과감하고 구체적인 그림을 그렸으면 좋겠다"며 "과감한 제안을 정부도 기꺼이 받아들이겠다"고 요청했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도 약속했다.

박 장관은 "복지부뿐 아니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타부처도 힘을 합쳐 센터가 제대로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라며 "조만간 인공지능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 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