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통일의학센터 신희영 소장 “남북 면역체계 상이성에 대한 대책 담보돼야”

한반도 평화체제 국면과 보건의료 분야 협력 재개 흐름에 따라 남북이 공동으로 ‘헬스 시큐리티(Health Security)’에 대해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의대 통일의학센터 신희영 소장은 지난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유라시아 보건의료 포럼 - 남북보건의료 교류협력 왜 필요한가’ 토론회에서 기존의 안보(security) 개념과 차원이 다른 포괄적인 헬스 시큐리티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신 소장은 남북교류의 활성화는 남북 간 활발한 인구 이동을 가져오기 때문에 그 전제로서 남북 간 면역체계 상이성에 대한 대책이 확보 및 담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성공단, 접경지역에서의 감염병 동향이 이미 관련 대응 체계의 필요성을 암시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신 소장에 따르면 방북 인원이 18만명에 이르며 급증한 지난 2004년에서 2008년 사이 남한의 결핵 인구가 대폭 증가했으며, 남한 접경지역의 말라리아 발생이 전국 말라리아의 40~50%를 차지했다. 북한과 남한 모두 휴전선을 기준으로 근방지역 위주로 말라리아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신 소장은 “한반도 평화체제와 이에 동반되는 남북 간 인력 교류, 왕래 시 서로 다른 질병 패턴과 감염성 질환에 대한 상호 노출 가능성은 본격적인 남북 통합과 주민 통합에 대비해 공동으로 대비해야 하는 영역”이라며 “남북한이 감염성질환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질병 진단 및 치료와 ▲인프라 구축에 협력해야 한다고 했다.

신 소장은 “각 도별 의료기관, 위생방역소, 실험실 기능을 위한 소모품을 지원하고 예상되는 질병별 의약품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며 “자생적인 질병 치료를 위해 북한 의료인의 역량 구축도 요구된다”고 말했다.

신 소장은 또 “북한의료시설 현대화를 위한 기반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북한의 지리적 환경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며 “감염벙 질환을 관리하기 위해 휴전선 근처에 병상을 설치하고 통합적 선별지원에 대한 표준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건국대 정치외교학과 이현출 교수도 “정치 등 여러 가지 위협 요인에 대한 안보를 고려해야 하지만 그중에서도 건강 안보(헬스 시큐리티)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보건의료영역, 건강에 대한 안보는 특히 집중해야 할 주제다. 건강 안보야 말로 삶과 직접 연관 돼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이같은 건강 안보 문제에 대한 선결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며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보건복지부 남북보건의료추진단 김진숙 팀장은 “복지부는 통일부와 협력해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남북 간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 중에서 감염병에 대한 부분은 자국민 보호차원에서도 협력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누구나 알 듯 감염병은 국경을 막론하고 전세계를 누빈다. 아프리카의 에볼라가 우리나라에 들어오기도하고 중동에서 메르스가 유입되기도 했다”며 “남북 교류가 시작된다면 세균성, 바이러스성 질환이 혼재되면서 남북 간 보건의료쪽 어려움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자국민 보호차원에서도 이에 대해 준비하고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 남북경협팀 권재관 팀장도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교류가 중요하다는 생각에 공감한다”며 “특히 감염병 대응 등 통일에 대비해서 미리 비용을 줄이는 방안에 대해 잘 들었다.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