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의대 김종엽 교수 “개인의료정보 시장 급속히 열릴 것…데이터 표준화 기준 마련 시급”

보건복지부가 추진 중인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교류사업을 거점의료기관이 아닌 개인의원 중심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한 ‘개인주도형 의료정보 활용’의 첫 발을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교류사업에 개인을 끼워넣는 방법으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건양의대 정보의학교실 김종엽 교수는 30일 오후 개최된 3차 의료정보정책 전문가 공개 포럼에서 ‘개인주도형 의료정보 현안 및 발전방향’을 주제로 이같이 주장했다.

김 교수는 “진료정보교류사업은 지금까지 거점병원 위주로 진행돼왔지만 거점병원은 병원 중 0.1%에 불과하다”며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교류를 위해 개인의원을 바탕으로 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개인의원이 참여하지 않는 이유는 잘못 따라가면 내 환자를 종합병원에 빼앗긴다는 위기의식이 있기 때문"이라며 "이런 불안을 없애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개인이 자신의 의료정보를 스스로 관리하는 개인주도형 의료정보관리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교류사업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교류가 잘 진행되는 과정에서 병원과 병원 간 진료정보 교류 사이에 개인을 넣는 것”이라며 “예를 들면 투약기록, 예방접종기록을 병원과 병원은 물론 환자까지 공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개인주도형 의료정보관리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합의가 필요한데, 이런 사업을 시작으로 하나하나 해 나가면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교류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개인의료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정부가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고도 했다.

김 교수는 “지금은 개인의료정보가 크지 않지만 앞으로 생체정보 등 큰 데이터를 개인이 관리하게 되면 지금처럼 관리할 수 없을 것”이라며 “결국 구글이나 애플 등을 활용할텐데 이들을 100% 신뢰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김 교수는 “정부에서 개인의료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민해야 한다”며 “결국 클라우드 형태 저장소가 필요할 것이다. 은행에 비밀금고를 만드는 것과 같은 개인 클라우드가 대안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스마트폰이 익숙한 세대가 고령환자가 되면 개인이 스마트폰으로 의무기록을 관리하는 시대가 반드시 오게 될 것”이라며 “(개인의료정보 관련) 시장은 어느 순간 급속도로 열릴 것이다. 사용자가 만족할 때가지 관련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김 교수는 “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기준 구축이 가장 시급하다. 시장이 열리고 난후 표준화는 너무 늦다”며 “표준화를 통해 각각의 정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편익을 환자, 의료기관, 정부가 골고루 나눠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