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현지 무역관, 정부 주도 업계 지원 촉구

온라인 진료(원격진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일본에 국내 기업들도 진출을 적극 모색해야 한단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과 달리 일본은 지난 2016년부터 전국적으로 온라인 진료가 허용되고 있다. 이에 2025년 초고령 사회를 앞두고 온라인 진료를 찾는 환자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초기 단계인 관련 스마트 의료 시장에 국내 기업들도 도전해야 한단 분석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김현희 일본 나고야 무역관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국내 기업들도 경쟁력이 있는 기술을 활용한다면 일본 시장진출이 유망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지난해 2월 기준 약 1,600곳의 의료기관이 원격진료를 도입했다. 향후 온라인 진료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올해 3월 전문가 회의를 통해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기도 했다.

다만 가이드라인 공개 및 건강보험 적용에 따라 온라인 진료 붐이 한풀 꺾였다고 무역관은 전했다. 현장에선 정신과와 소아청소년과에 대한 온라인 진료 수요가 높음에도 이들과가 보험 적용에서 제외, 당뇨병 등 만성질환, 생활습관 질환만 보험이 적용됐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일본 온라인 진료시장은 빠른 고령화와 함께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김 무역관은 “온라인 진료는 환자의 편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진료 효율성이 높아 의료비를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면서 “특히 원격진료가 자리 잡게 되면 연간 최대 40조엔이 넘는 의료비 절감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규모도 2015년 123억엔(1,221억원)에서 올해 133억엔 수준(약 1,320억원)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2019년에는 199억엔(1,975억원), 2023년에는 251억엔(2491억원)이 될 거란 예상이다.

김 무역관은 “일본은 정부 주도로 스마트 의료산업을 키우고 있다. 관련 법 제정 및 표준화 작업을 통해 관련 스타트업에 문을 열어놓은 상황”이라면서 “한국 기업도 이미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보안 기술과 가상현실/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해 일본 시장에 맞는 제품을 개발한다면 아직 초기 단계인 스마트 의료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어 “스마트 의료시장 확대를 위한 한국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의료산업계와 ICT 기업들이 헬스케어 관련 신기술을 개발하고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개인정보 활용 기준을 제시하고 표준화 작업 등을 실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