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근 의원 “접경지역‧도서산간 등 의료취약지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정부가 추진 중인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교류사업이 특정지역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나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의원은 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진료정보교류 참여의료기관 1,265개 목록을 제출받아 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참여기관이 특정 지역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진료정보교류는 진료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환자의 진료기록을 다른 의료기관에 전자적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체계를 확립하는 사업으로, 정부는 이 체계를 기반으로 대형병원에서 중증·고난도 질환을 치료받고 병의원에서 지속 관리를 받는 협진모형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거점문서저장소가 구축된 지역은 ▲서울(129개소) ▲부산(628개소) ▲대전(207개소) ▲대구(43개소) ▲경기(121개소) ▲전남(137개소) 등 6곳으로, 인천·강원·충청·경상 지역 등은 진료정보교류사업이 추진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들 6개 권역 중에서도 서울과 경기, 전남에서 권역 내 특정지역 편중현상이 두드러졌다.

서울의 경우 129개 참여의료기관이 주로 마포구와 강남구, 은평구에 집중됐다.

경기에서도 성남시와 용인시 소재 의료기관 위주로 사업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남권역에서는 대부분의 참여기관이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상황이 다.

(자료제공:신동근 의원실)

이에 대해 신동근 의원은 “정부의 계획대로 대형병원과 중소병의원 간 협진모형이 성공적으로 안착되려면 무엇보다도 환자 생활권 내 중소병의원이 동참해야 된다”며 “현재처럼 특정지역에만 참여의료기관이 밀집될 경우 해당지역 주민만이 진료정보교류의 편의를 누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사업이 절실한 지역은 큰 병원에 내원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접경지역이나 도서산간 등 의료취약지”라며 “이들 지역의 중소병의원이 최우선적으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