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의대 김대중 교수, 당뇨병 예방 위한 국가사업 필요성 주문

당뇨병 전문가들이 정부의 비만 관리 대책이 당뇨병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급증하는 당뇨병 환자 조기 진단을 위해 당화혈색소 검사를 국가 건강검진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해 주목된다.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자료=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가 이달 초 게재한 ‘당뇨병의 효과적 예방을 위한 제언(교신저자: 아주의대 김대중 교수, 질본 질병예방센터 최수미·안은미·강성현·이강희)’에서 연구진은 "최근 정부가 발표한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건강인센티브제나 건강친화기업, 건강도시 활성화 방안을 잘 실천한다면 당뇨병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7월 교육부 등 관계부처(9개 부·처·청) 합동으로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2018~2022)’을 확정했다.

당뇨병의 주요 발병 요인 중 하나인 비만 관리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섬에 따라, 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란 의미다.

다만,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선 당뇨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당뇨병의 심각성과 함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예방방법 홍보가 필요하다"며 "고위험군에는 당뇨병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이 다양한 국가·사회적 사업을 통해 제공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당뇨병 예방을 위한 국가사업으로는 당화혈색소 검사를 국가검진에 포함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현재 2년마다 시행하는 국가검진에는 공복혈당이 포함돼있는데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으로 2차 검진 대상이 된 경우에도 공복혈당 검사만을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연속해서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면서도 "혈당조절장애가 진행될 때 공복혈당과 식후혈당이 동시에 상승하는 경우도 있지만, 서로 다른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가이드라인에서 공복혈당뿐 아니라 당 부하 후 혈당도 검사하도록 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혈당은 매일 다른 수치를 보일 수 있는 만큼 당화혈색소 검사의 중요성이 크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당화혈색소가 6.5% 이상인 경우는 공복혈당이 기준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당뇨병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공복혈당만으로 당뇨병을 추정하면 13%가 당뇨병이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당화혈색소 검사를 포함하면 14.4%로 증가한다. 무려 50만명(1.4%)가 기준에 따라 당뇨병 진단이 달라지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당뇨병을 적극적으로 조기 발견하기 위해선 국가검진에 당화혈색소 검사를 포함해야 한다"며 "적어도 1차 검진에서 공복혈당이 100mg/dL 이상인 경우(소요예산 고려가 필요할시 110mg/dL)에는 2차 검진에서 반드시 당화혈색소 검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