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EP, 특허 등 라이선스 아웃 전략 강조

한국 바이오의료 산업 성장을 위해 특허 등의 지적 자산을 활용한 전략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22일 '한국의 바이오의료 신산업 발전전략 제언(김한해 부연구위원 외 2명)'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연구원은 "1인당 국민소득 3만불 목표 달성 및 유지를 위해선 확실한 신성장동력 확보가 필요하다"며 "한국 바이오의료산업의 발전은 미래사회 대응 및 경제성장 측면에서 전략적 중요성을 지닌다"고 했다.

바이오의료산업은 핵심특허 및 기술의 의존도가 높은 지식집약형 고부가가치 산업인 만큼 한국도 충분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연구원은 내다봤다.

연구원은 "국내 경우엔 투자 지향적 성장모델보다는 바이오 지적 자산 등을 활용한 맞춤형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미국 등의 바이오의료기업과 국내 기업간 역량 차이를 감안하면 투자 지향적 성장모델을 잇는 그대로 국내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봤다.

그러면서 "한국은 틈새시장형 신약개발을 추진하거나 바이오 지적자산의 라이센스 아웃 등의 기회를 확보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적합하다"면서 "벤처 및 중소, 중견기업은 신약 후보물질이나 신기술 등의 지적자산 라이센스 아웃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중소, 중견기업은 임상단계까지 주도적 개발이 가능한 역량을 확보하고 글로벌 기업간 협업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연구원은 "대기업은 제네릭이나 바이오시밀러 같은 경쟁이 심화된 분야에 집중 투자하기보단 유망 벤처 및 중소기업 인수합병, 물질매입 전략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 신속히 진출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제도적 지원과 규제개선이 계속돼야 한다고도 했다.

연구원은 "정부는 2020년 바이오 7대 강국을 목표로 줄기세포·유전자치료제, ICT 융복합 의료기기 등의 기술개발 및 바이오 규제관리 선진화 전략을 수립(신기술·신제품의 신속심사 제도 마련, 첨단융합분야의 규제 개선을 위한 협의체 구성·운영 등)한바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 2016년 일부 유전자에 한해 민간 유전체 정보 검사가 제한적 허용되는 등 혁신기술에 대한 규제가 점차 완화되고는 있지만, 유전자치료 연구분야는 여전히 관련 법규에 의해서 제한되는 측면이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