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학회 감염병 대응 심포지엄' 대학생 참관기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서 교류협력이 활발해지고 나아가 통일 가능성도 높아졌다는 말을 많이 한다. 하지만 통일이라는 결과가 아니라 그 과정에 집중해야 한다. 그리고 그 과정은 남북 간 경제적 격차를 줄이는 거라고 생각해 왔다.

하지만 대한감염학회가 지난 19일 개최한 ‘2018년 남북 교류 활성화 대비 감염병 대응 심포지엄’을 인턴 기자 자격으로 참석하면서 새로운 사실을 알았다. 남북 간 건강격차를 줄이는 게 중요하다는 사실이었다.

대한감염학회는 지난 19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18년 남북 교류 활성화 대비 감염병 대응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심포지엄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남과 북이 질병관부터 시작해 질병의 양상, 보건의료 인프라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고 했다. 남한은 바이러스성 질환이 많은 반면 북한은 감염성 질환이 많다는 사실도 알았다.

북한은 무상의료체제이지만 의료시설 등이 미비해 질병 진단이 정확하지 않고 결핵 같은 감염병 치료도 제때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한다.

현 상태로 북한과 자유롭게 교류하면 휴전선에 가로막혀 있던 감염성 질환들이 우리 사회로 섞여들 수 있다. 특히 결핵 문제가 심각하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결핵 발생률 1위다. 여기에 북한 결핵 문제까지 더해진다면? 상상만 해도 무서웠다. 정보가 제한적이어서 북한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핵 위험에서 벗어나 안심하고 살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감염병 등 보건의료 분야 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않으면 결핵이나 말라리아에 감염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안게 될 것 같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독일 통일 사례를 살펴봐야 한다는 지적이 공감됐다. 통일 전 동독과 서독은 경제적 격차는 남한과 북한보다 적었다. 그리고 통일 전 보건협정을 맺어 보건의료 분야 교류를 꾸준히 해 왔다. 그런데도 통일 후 동독과 서독 간 건강격차를 줄이는 데 20년이나 걸렸다고 한다.

우리도 더 늦기 전에 보건의료 분야 교류를 활성화해야 할 것 같다. 보건의료 분야는 인도적 지원도 가능하다. 그리고 학술 교류를 통해 서로의 보건의료 실태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남과 북의 간극을 좁혔으면 한다.

그동안 남북문제는 정치나 경제 분야에 해당한다고 생각해 왔는데,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보건의료 분야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권소현(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 4학년)/노한솔(고려대 철학과 4학년) 인턴 기자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