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 책임론에 “국민은 의사한테 검사 받길 원하지 않겠느냐” 회의론까지

오는 4월부터 건강보험 적용이 확대되는 상복부 초음파 검사에 의사가 직접 해야 한다는 단서가 달리자 방사선사들이 ‘멘붕’에 빠졌다. 당장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대한방사선사협회는 23일에는 보건복지부 세종청사 앞에서, 25일에는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잇따라 집회를 열고 정부 방침에 항의하기로 했다.

하지만 사태 해결 방향을 두고 방사선사들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방사선사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방사선사협회의 책임론이 제기되는 한편, 환자들은 방사선사보다는 의사에게 초음파 검사를 받고 싶어 할 것이라는 회의론까지 나오고 있다. 이번 기회에 방사선사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방사선사 A씨는 “현재 한국에 초음파 전문 방사선사가 1,800여명 있다. 미국 소노그래퍼 자격증(American Registered Diagnostic Medical Sonographer, ARDMS)을 취득한 방사선사도 수백명이다. 의사가 초음파 검사를 다 하기에는 그 수가 부족하다. 개인병원이나 준종합병원 등에서 진료에 바쁜 의사들이 초음파 검사까지 하기엔 시간이 부족하다”며 현실성이 떨어지는 급여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방사선사 B씨는 “협회는 그동안 뭘 했는지 모르겠다. 이미 결정 났는데 이제 와서 집회에 참석해 달라는 문자를 돌리면 뭐하느냐”며 “손 놓고 있다가 뒤통수 맞았다”고 비판했다.

C씨는 “협회가 막을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더욱이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방사선사 대부분이 초음파 검사와 관련이 없어 이 문제에 관심도 없었다”며 “초음파 검사 하던 소노그래퍼(Sonographer)에 대한 다른 방사선사들의 반감도 크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단체로 들고 일어나서 우리가 요구하는 걸 얻어낸다고 해도 의원이나 병원에서 방사선사로 근무하는 사람들은 얻을 게 없다”고도 했다.

“우리끼리 싸워봐야 소용없다. 급여와 비급여 차이를 떠나서 국민 대다수는 초음파 검사를 의사가 해주길 바라지 않겠느냐”고 말하는 방사선사도 있었다.

이번 기회에 전문성을 강화해 소노그래퍼 자격을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D씨는 “미국이나 캐나다에서는 소노그래퍼 자격이 있다. 일정한 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취득하면 초음파 검사를 할 수 있다”며 “방사선사의 초음파 검사를 인정받으려면 전문성을 인정받을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