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치매를 국가가 책임지겠다며 '치매국가책임제'를 공언했습니다.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을 위해 보건복지부 등 정부부처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죠.

보건복지부는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1,500억원을 신규 예산으로 책정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치매연구 예산을 전년보다 2배 가량 늘렸습니다.

그러나 정책들이 안심센터 설치 및 건강보험 급여 확대 쪽에 치우치면서 치매 관련 신약개발에 대한 지원책은 미미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등을 통해 수억원에서 수십억원의 치매약 개발에 대한 지원을 받고 있지만 턱없이 모자라다는 지적입니다.

실제로 치매 신약개발은 화이자, 로슈 등도 실패의 쓴맛을 본 것처럼 난제로 꼽힙니다.

그렇다고 정부가 무턱대고 수천억원을 지원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때문에 업계에선 제약사가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정부가 치매 치료에 중요한 한 축인 신약 개발에도 좀 더 세심한 지원전략을 마련한다면 치매국가책임제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