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 일산병원, 관리비용 분석..."감염관리비용 2년새 2배 늘었으나 수가는 턱없이 부족"
재료대 수가산정 및 적정수가 보상 필요..."병원이 시설에 투자할 수 있게 보조 확대해야"

병원 내 감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2년 새 병원 감염관리 비용은 2배 늘었지만 정작 수가는 원가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국민건강보험공단 산하 일산병원에서 의료관련 감염 예방 활동을 위해 소모품 및 치료재료 등 재료비에 대한 수가를 현실적인 수준으로 보상해줘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공단 일산병원 연구소는 최근 이같은 내용의 ‘의료관련 감염관리 강화를 위한 의료지원체계 개선(책임연구자 박윤수)’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공단 일산병원은 745병상을 기준으로 매년 감염관리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2014년에만 감염관리 비용이 3억9,146만2,663원이 소요됐고, 2015년에는 4억8,019만6,603원, 2016년에는 7억9,854만3,799원으로 2년새 2배 이상 늘었다.

이를 입원환자 1일당 감염관리 비용으로 환산했을 때 2014년 1,439.6원에서 2015년 1,765.9원, 2016년 2,936.6원으로 증가했다.

주로 1회용 가운, 기구 및 환경소독제, 직원감염관리 비용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 메르스 유행 이후 감염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다제내성균 환자의 증가로 인한 감염관리 활동 증가, 정부의 각종감염관리 정책 시행으로 인한 관련 물품 사용량 증가 때문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연구진은 지난 2016년에 신설된 감염예방관리료(입원환자 1일당)는 종합병원 1등급 2,380원, 2등급 1,950원으로, 일산병원의 2016년 입원 1일당 감염관리 비용 2,936.6원과 비교해서도 턱없이 부족한 수치라고 지적했다.

더욱이 이번 비용 분석에는 감염관리 인력 추가에 따른 인력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감염관리 비용에 인건비를 포함할 경우 실제 감염관리 비용은 더 많이 늘어나고, 향후에도 비용은 더많이 증가할 것이라는 게 연구진의 지적이다.

이에 연구진은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수술실 ▲1회 진료재료 및 물품 ▲감염관리 비용분석 등 분야별로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병동과 응급실은 중앙에서 일괄 처리 및 1회용품 사용, 확대에 대한 논의가 더 필요하며 감염환자 발생 시 격리환자만 치료할 수 있는 독립적 분리병동 시설 및 격리환자만을 간호하는 전담의료진의 확보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중환자실에서는 공기매개 감염환자를 위한 격리실 관리 강화, 격리실 내 전실 개별 설치, 유치도뇨관관련 감염관리 등이 강화돼야 하며, 감염관리에 수반되는 소모품들을 재료대로 산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파우더 미함유 장갑, 복강경 및 절삭기류 등의 정액수가를 현실화하고, 심장혈관시술 등 시술장 운영 및 관리, 시술시 사용되는 일회용 물품에 대한 수가를 책정하는 한편, 내시경 시술 시 사용되는 일회용 물품들에 대해서도 수가책정이 필요하다고 연구진은 제언했다.

특히 의료관련 감염 예방을 위한 활동에 소모되는 소모품 및 치료재료 등의 제반비용들이 재료비 산정에서 제외된 경우가 많다면서 이같은 소모품 등에 적정수가를 반영, 현실적인 수준으로 보상해줄 필요가 있다고 연구진은 강조했다.

또한 환자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안전을 위해서도 직원의 감염관리에 초점을 두고 안전물품의 보상체계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연구진은 안전물품 보상체계가 현실화돼 병원들이 시설적인 부분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정책적 보조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의료기관에서 병원 감염관리 활동이 단순히 비용 손실이 아니라 하나의 투자로 생각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감염관리 활동에 따른 보상이 필요하다”면서 “병원 감염관리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관심과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의료기관과 정부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인식도 개선돼야 한다”면서 “의료기관에서 감염관리를 위한 응급실 선별진료, 간병 및 병문안 문화 등 감염관리 및 의료환경을 개선하는데 적극 동참해야하고 이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는 필수적”이라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