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병원 신경철 교수 “치료전략 다르면 환자 피해 우려…결핵전문기관으로 유도해야”

민간·공공협력(PPM) 국가결핵관리사업 대구권역 책임의사인 영남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신경철 교수가 사업에 참여하는 의료진이 국가결핵관리정책에 대해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의료기관 내에서도 치료하는 의사에 따라 결핵치료계획이 다른 것도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22일 오후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주관으로 열린 ‘2017년 민간·공공협력(PPM) 국가결핵관리사업 평가대회’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신 교수는 “국가에서 결정한 결핵관리정책이 민간협력의료기관까지 잘 전파가 되는지 생각해야 한다. PPM 권역 책임의사나 PPM 참여 의료진들 모두가 환자 개개인을 관리하는 수준을 넘어 국가의 결핵관리정책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예를 들면 의료기관 잠복결핵 검진사업을 하면 각 의료기관이 대처하는 감도가 다르다”며 “대구권역에 8개 대상병원이 있는데, 대처방법, (결핵환자 확인 시) 치료권고수준이 8가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결핵관리와 관련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 교수는 특히 의료진마다 결핵치료전략이 다른 것은 결국 환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결핵치료를 각 병원마다 여러 의사들이 하거나 한명이 하는데 문제는 의사마다 치료전략이 다르다는 것이며, 치료전략이 다르기 때문에 치료결과도 다를 수 있다”며 “이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PPM에 참여하지 않는 의료기관에서 진행하는 결핵치료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했다.

신 교수는 “PPM이 아닌 의료기관에서 56세 남성을 폐결핵으로 1년간 치료했음에도 결핵균이 계속 배출된 경우가 있었다”며 “결국 검사해보니 결핵이 아닌 비결핵성 항산균 질환(NTM)이었다. 환자 입장에서는 먹지 않아도 되는 약을 1년이나 먹은 것”이라고 밝혔다.

신 교수는 “결핵치료를 어디서 누가 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지역별 차이도 크다. 대도시에서는 결핵치료전문기관에서 하면 되지만 그렇지 못한 농촌 격오지도 있다”며 “가능하면 결핵의심환자는 결핵치료전문기관으로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신 교수는 ▲조 더 확실한 접촉자검진과 잠복결핵치료 ▲다재내성결핵과 약제내성결핵 등 치료하기 힘든 결핵을 위한 자문기구 마련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