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재생의료지원사업 공청회서 다양한 문제점 지적

학계 연구나 정부 R&D 지원에 대한 성과로 강조되고 있는 특허가 산업화 관점에서 질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업화와 동 떨어져있는 특허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허에 대한 질관리를 비롯해 정부 연구지원 사업의 부처간 중복 개선, 상용화 이후 급여적용의 필요성 등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차바이오텍 임재승 전무는 20일 보건복지부 주최로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2기 재생의료지원사업 공청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임재승 전무는 "재생의료 분야에서 많은 원천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특허가 많이 나왔다고 하지만, 기업의 입장에서 산업화를 하려고 보면 질이 관리되지 못한 경우가 있다"면서 "경쟁력 있는 특허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특허 건수 증가에 만족하기보단 산업화가 가능한 경쟁력 있는 특허가 나오도록 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부처간 업무가 중복되는 가운데 때로는 R&D 과제가 사업을 추진하는 데에만 목적이 있다고도 했다.

임 전무는 "미래부와 복지부의 R&D 지원영역은 중첩되고 있다"며 "심지어 세포치료제는 최근 미래부 과제에서도 R&D 파일링(filing)이 목표가 됐다고 본다. 양 기관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개발 이후 시장에서 살아남아 선순환 생태계를 이룰 수 있도록 급여 확대를 요구하기도 했다.

임 전무는 "허가 이후의 지원도 있어야 한다. 환자들이 어떻게 (제품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제도화가 돼야 상용화 트랙이 활발해질 수 있다"고 했다.

정부지원 예산을 현재보다 효율적으로 집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파미셀 김현수 대표는 "한국도 R&D 예산이 GDP 대비 높아졌다고는 하지만 한정돼 있는 게 현실"이라며 "성공가능성이 높은 곳에 더 집중해 성과를 내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한국이 줄기세포에 최초허가 품목들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지만 이 회사들은 정부지원이 많지 않았다"며 "가능성 있는 곳에 (지원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치료제 개발과 함께 유관 산업의 발전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강스템바이오텍 강견선 대표는 "일본에서는 기반기술을 서포트하는 업체들에 대한 정부 지원이 많이 이뤄지고 있다"며 "연구자가 쓰는 배지도 100% 전량 해외 수입인 것으로 안다. 가격도 굉장히 비싸다"고 했다.

이에 강 대표는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세포배양배지' 등도 국산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