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5년 생존율 각각 76.9%, 65.5%로 국제심폐이식학회 생존율보다 높아

타 장기에 비해 낮았던 폐이식 생존율이 이식 환자 3명 중 2명이 5년 이상 생존할 만큼 높아졌다.

서울아산병원 폐이식팀은 2008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폐이식을 받은 환자 41명을 분석한 결과, 5년 생존율이 65.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1년, 3년 생존율도 각각 81.4%, 76.9%로 그동안 간이나 심장 등 타 장기에 비해 생존율이 낮아 이식수술을 망설였던 말기 폐부전 환자들에게 큰 희망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결과는 국내 폐이식 성적을 모두 모아 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의 1년 생존율 55.3%, 3년 생존율 47.6%, 5년 생존율 44.8%와 비교했을 때도 월등한 성적이다.

특히 전세계 유수 폐이식센터들의 성적인 국제심폐이식학회(ISHLT)의 1년 생존율 85%, 3년 생존율 67%, 5년 생존율 61%와 비교했을 때 더 높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폐이식팀은 국내 폐이식 환자들이 외국에 비해 중증환자 빈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수준의 폐이식 생존율을 보고하게 된 이유를 집도의들의 누적된 수술 경험과 수준 높은 중환자실 집중관리로 꼽았다.

이 외에도 퇴원 후 외래에서 주의깊게 관찰한 후 합병증이 발생했을 경우 조기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등 폐이식 환자를 위한 다학제 간 진료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점도 요인으로 꼽았다.

폐이식팀 김동관 교수는(흉부외과) “간이나 심장 등 타 장기 이식 생존율은 이미 세계 의료계를 선도하고 있지만 국내 폐이식 성적은 지금까지 저조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이번 연구결과 폐이식 생존율이 세계 유수센터들과 대등한 것으로 분석돼 말기 폐질환 환자들에게 큰 희망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폐이식 생존율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 올릴 수 있었던 것은 수술 후 출혈이나 합병증을 크게 줄였고, 호흡기내과, 흉부외과, 마취과, 감염내과 등 폐이식 환자를 중심으로 한 폐이식팀의 팀워크와 유기적인 다학제 진료시스템 구축으로 환자들의 질 높은 통합관리가 가능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폐이식팀 홍상범 교수는(호흡기내과) “모든 환자들은 이식수술 후 야기되는 거부반응 때문에 면역억제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 이식 후 여러 가지 합병증이 생길 수 있는데 면역억제제의 적절한 조절과 꾸준한 호흡재활 등 원칙에 따른 정확한 관리를 통해 폐이식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