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김명희 교수팀, 간암환자 41명 분석결과

수술을 앞둔 환자의 스트레스는 마취 직전 최고조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 우울감이 심한 경우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심장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명희 교수팀은 2013년 당시 간암 수술을 받을 예정이던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우울감과 심박변이도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김명희 삼성서울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심박변이도는 신체활동이나 외부자극 등에 대처하기 위한 우리 몸의 반응 중 하나로, 심장박동이 빨라지거나 느려지는 변화 정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심박변이도는 변화 폭이 크고 불규칙한 것이 정상이다.

연구팀은 간암 진단 전까지 다른 질병을 앓거나 정신과적 병력이 없는 사람 중 40~70세 남성 환자만을 택해 심박변이도를 측정했다.

측정은 수술하기 전날과 수술에서 마취하기 직전, 마취 후 10~15분이 지났을 때 등 세 차례에 나눠 진행했다.

그 결과, 환자들의 스트레스가 가장 극심한 순간은 수술을 받기 바로 직전, 즉 마취를 기다리는 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 환자의 심박변이도는 수술 전날에 비해 고주파 성분은 하락하고, 저주파 성분은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환자의 불안감과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저주파 성분과 관련 깊은 교감신경은 활성화된 반면, 부교감신경이 억제되며 고주파 성분의 수치가 저하된 것이다. 이런 변화는 마취 이후 진정세를 보이며 마취 전날과 엇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됐다. 뿐만 아니라 마취 직전 환자들의 심박수와 혈압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승세를 나타내 환자들의 스트레스 등 심리적 불안이 가중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반면, 이런 우리 몸의 자연스러운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연구팀이 수술 전 환자들의 우울감을 검사한 결과, 우울감 척도가 낮았던 환자(19명)와 달리 우울감이 높았던 환자(22명)는 수술 전 날과 마취 직전, 마취 이후 측정한 심박이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우울감이 높은 환자들의 경우 수술과 같이 극단적 상황에서 심장의 대처능력이 떨어진다는 의미라며, 심한 경우 수술 중 합병증 발생률이나 사망률을 높이는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명희 교수는 “암수술처럼 큰 수술을 앞둔 환자는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우울감이 심한 경우 자율신경계 기능부전으로 심장의 대처능력마저 저하될 수 있다”며 “의료진들이 수술 전 환자의 마음건강까지 살펴야하는 이유”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마취학술지(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최근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