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비 급증 대안 적극 지원·개발 나서

의료비 급증에 대한 대안으로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는 일본이 한국의 생산시설 거점화 전략에 주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KIET)은 최근 일본 현지자료 등을 토대로 한 '해외산업 이슈 점검(사공목 연구위원)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사공목 연구위원은 "일본 바이오시밀러 업계에선 한국의 바이오 CMO(바이오 의약품 수탁제조기관) 거점화 구상을 벤치마킹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일본에서 바이오 CMO 실적이 있는 업체는 도요보와 아사히가라스 등으로 한국 기업에 비해선 소수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일본은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해 CMO 사업자와 중앙정부, 지자체, 제약업체가 혼연일체 돼 대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고 했다.

바이오베터(개량형 바이오의약품, Biobetter)에 집중하는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다고도 했다.

사 연구위원은 "기존 의약품의 단순한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그치지 않고 기존 의약품을 개량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바이오베터 전략을 채택하는 기업들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 전략은 개량 부분의 특허를 취득함으로써 경쟁사의 참여를 배제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적극적이면서도 바이오시밀러 효능에 대한 신뢰도의 문제로 시장에서 점유율이 크지 않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불구 바이오시밀러가 급증하는 의료비에 대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일본은 지난 2015년 '경제재정운영과 개혁의 기본방침'을 통해 바이오시밀러를 포함한 제네릭의 수량 비율 상향 목표를 결정한 바 있다. 당시 54%였던 비율을 2017년 중반에는 70%로, 2020년 말까지는 80%로 높이겠다는 계획"이라며 "고가의 바이오의약품 비율이 매년 높아져 의료비 부담 증가가 현안으로 대두되면서 바이오시밀러가 대안으로 부상했다"고 봤다.

이어 "바이오시밀러는 제네릭에 비해 제조가 어렵고 기술노하우도 더 필요한 품목"이라며 "글로벌 제약업계에선 특허기간이 만료된 바이오의약품의 시밀러 경쟁이 격화되고 있고 일본 업계에서도 최근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이전보다 적극으로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