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의전원 신찬영 교수팀, 연구결과 발표

환경 요인으로 발생하는 자폐증이 3대까지 전이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약리학교실 신찬영 교수팀은 8일 환경인자(발프로산)에 노출된 자폐 동물을 통해 세대간 전이가 이뤄졌는지 연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자폐 범주성 장애(자폐증)는 사회적인 상호작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같은 행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증상을 보이는 신경발달성 장애로 전세계적으로 유병률이 매년 증가 현재는 1.5%에 달하며 우리나라도 유병률이 2.6%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이 신체적 기형을 살펴본 결과, 1세대에는 관찰되지만 2세대나 3세대에는 유전되지 않았다. 그러나 자폐증에서 관찰되는 대두증과 자폐범주성 행동장애의 지표 신호전달 체계인 전두엽피질 내 GSK3β(인산화 효소, 글리코겐 신타제 키나제 3β)(Glycogen Synthase Kinase-3β)의 인산화는 정상군에 비해 자폐 동물 3세대까지 유전됐다.

자폐증의 사회성 결여 현상과 자폐증 발병원인인 전두엽피질 내 흥분성·억제성 뉴런 불균형도 자폐 동물모델 3세대까지 유전됐다.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NMDA 수용체와 AMPA 수용체의 발현이상도 3세대까지 이어졌다.

AMPA 수용체는 뇌에서 흥분성 신호를 전달하는 이온성 수용체로 빠른 시냅스 전달에 관여하며 NMDA 수용체는 신경세포의 신경수용체로 세포 사멸을 조절하거나 정상적인 세포 사이 통신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연구진은 내인성 신경조절물질로 알려진 아그마틴(Agmatine)을 자폐 동물 모델에 투여한 결과, 사회성 결여 개선효과 및 과잉행동 억제 등 자폐 행동 개선 효과를 관찰 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신 교수는 “약물 노출에 의해 나타나는 꼬리가 휘어지는 등의 신체적 기형은 1세대에서만 나타나고 손자나 증손자 세대에는 전달되지 않지만, 자폐범주성 장애 증상은 적어도 3세대까지 계속 이어져 나타났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환경인자 유발성 자폐범주성 장애가 다세대에 걸쳐 유전돼 지속적인 자폐증 유병률 증가의 한 원인이 될 것임을 증명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유전성 자폐범주성장애 뿐 아니라 환경인자에 의한 자폐범주성장애가 손자 및 증손자 세대까지 걸쳐 유전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환경성 자폐유발인자 관리 및 치료제 개발의 토대를 확립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질환극복기술개발 사업, 교육부 기초연구지원사업 등 정부 R&D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세계적 과학저널인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틱 리포트’(Scientific Reports)와 신경약리 분야 국제 저널인 ‘뉴로파머콜로지’(Neuropharmac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