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 글로벌 선점 위한 정부·병원·산업 협업 강조

의료의 패러다임을 빠꿀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는 정밀의료, 하지만 한국은 미국과 중국에 비해 필요한 데이터 축적규모 등에 한계가 있어 효과적인 관련 솔루션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은 최근 '의료 미래 바꿀 정밀의료(밸류체인으로 본 글로벌 트렌드와 과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정밀의료를 '유전체 분석결과 및 의료·임상 기록뿐 아니라 환경, 생활습관 등 다양한 정보를 종합해 어떤 치료법과 예방전략이 가장 효과적일지 보다 정밀하게 예측하고 대응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이같은 정밀의료가 바이오제약이나 의료기기 등 다양한 산업군에 걸쳐 사업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고 변화에 뒤쳐지지 않기 위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한계 극복을 위해선 대규모 데이터와 지식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며 "높은 수준의 의료기술 및 정보통신 기술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아직 산업화되지 않았거나 산업화가 미숙한 다양한 정밀의료 솔루션들을 개발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

따라서 이런 과정을 장려할 수 있는 허가·규제 및 보험체계의 마련도 중요하다고 연구원은 강조했다.

연구원은 "정밀의료를 발전시키고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각국 정부와 기업의 노력은 이미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의료 패러다임 변화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선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안목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봤다.

정밀의료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와 병원, 기업의 협업하에 전략을 세우고 기술적·사회적 이슈를 해결해나가야 한다는 게 연구원의 주장이다.

연구원은 "정밀의료의 적용 가능성과 효과성을 제고하고 임상적 유용성을 증명하기 위한 대규모 이종 데이터의 축적·연결·통합·환자·소비자의 신뢰 획득, 정밀의료의 적절한 가치에 대한 분석 및 가격 접근성 제고 등 다각도의 과제가 요구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개별 기업이나 연구기관의 노력만으로는 힘들다. 정부와 의료 시스템을 망라하는 대대적인 협업이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