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 기술은 자르고 다듬고 조립하던 기존의 제조방식을 벗어나 재료의 적층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새로운 제조기술로서, 새로운 산업혁명을 이끌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 기술은 보건의료분야에서도 일찍부터 주목을 받아 왔는데, 심장이나 간 등 3D프린터로 제작된 인공장기 등에 대한 기대 외에도 당장 수술에서의 쓰임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환자 개인에 맞춘 인공두개골, 인공코 등을 통해 수술 성공률을 한층 끌어올렸다는 연구결과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여기에 환자의 수술부위를 3D프린터를 통해 제작해 수술 연습을 한다거나 3D프린터로 제작한 두상모형으로 의대생들과 전공의들이 뇌종양 수술 실습을 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 보건의료분야에서 이러한 3D프린팅 기술의 쓰임이 더욱 활발해질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비용 문제, 제조품의 소재에 대한 안전성 문제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특히 안전성 문제는 반드시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의료기술이라도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그림의 떡일 뿐이다.

그러나 의사 개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관련 전문가들이 모인 학술단체의 등장은 시의적절하다고 여겨진다.

지난 3일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중강의장에서 열린 ‘대한3D프린팅융합의료학회 공청회 및 발기인대회’에는 의사, 치과의사 등 의료인은 물론, 공대 교수, 식품의약품안전처·보건복지부 등 정부 관계자, 산업체 종사자 등 각계 전문가들이 대거 자리했다.

이들은 이날 소재와 금형, 실제 환자에게 적용할 때의 제품 변형 문제 등 임상에서 우려되는 점들과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 등을 쏟아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도 가이드라인 마련에 이어 세부적인 지침을 하나씩 만들어가겠다고 했다.

3D프린팅 기술이 보건의료 분야에 가져올 이점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시행착오는 불가피할 것이다. 전문가 집단인 대한3D프린팅융합의료학회가 이 시행착오를 최소화해 환자의 안전과 의료의 발전, 산업의 융성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