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적으로 이해 안돼”…일부에서는 사무장병원 의혹까지 제기

또 다시 발생한 C형간염 집단 감염 사건에 의료계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500명이 넘는 C형간염 항제양성자가 의원 한 곳에서 발생했다는 소식을 접한 의사들 대부분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입을 모았다.

일부에서 C형간염 집단 감염이 발생한 서울 동작구 서울현대의원(현 JS의원)을 사무장병원으로 의심하는 이유도 ‘비정상적인 상황’이라는 데 있다.

서울현대의원을 개설한 원장 A씨는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도수치료 등으로 척추교정을 전문으로 하는 곳이라고 홍보해 왔다. 척추교정치료 외에도 비만치료와 통증치료 등 침습적 시술을 해 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C형간염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의사 3명이 돌아가면서 서울현대의원 원장을 맡았다는 게 보건당국 설명이다.

그리고 2014년, 어떤 이유에서인지 서울현대의원은 JS의원으로 명칭이 바뀌었으며 2011년 9월부터 3개월 동안 서울현대의원을 운영했원 B원장(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이 다시 운영자가 됐다.

개설자가 A씨에서 B원장으로 바뀌었지만 A씨는 그 이후에도 JS의원에서 비정기적으로 환자들을 진료해 왔다.

JS의원도 도수치료를 주로 해 왔으며 무릎·발목통증 치료를 위한 주사요법으로 태반주사, IMS(신경자극술), PDRN(일명 DNA 주사) 등을 했다.

보건당국과 의료계는 침습적 시술에 사용되는 주사제가 오염된 것으로 보고 있다. 주사기 재사용 여부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사무장병원 의혹에 동작구의사회 “아니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의사들 사이에서는 “몇 년 전 서울현대의원에서 개설 원장을 찾는다는 공고를 낸 것을 봤다”, “혹시 사무장병원 아니냐”는 의혹들이 쏟아졌다.

그러나 동작구의사회 측은 서울현대의원이나 JS의원 모두 사무장병원은 아니라고 했다.

동작구의사회 관계자는 “사무장병원이라고 의심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렇지 않다. 서울현대의원 원장은 동작구의사회 회원으로 가입돼 있다”며 “올해 3월 JS의원에서 C형간염 환자가 발생했다는 소문을 듣고 확인하기 위해 직원을 파견했더니 한두명 발생해서 보건소에 신고했다고만 하더라”고 말했다.

의사들이 무엇보다 이해가 안된다고 고개를 가로 젓는 부분은 C형간염 감염 경로다.

의료계 내에서는 주사기 재사용보다는 통증치료나 비만치료에 사용하는 주사제가 오염됐을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주사제를 통해 500명 이상 C형간염에 감염됐다는 것은 비정상적인 상황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한 의사회 관계자는 “주사제를 매번 사용량만큼 수액에 희석해서 쓰기 귀찮으니까 대량으로 만들어 놓고 뽑아 쓴 것 같은데 그런 경우가 흔하지 않다”며 “어떻게 이런 일이 생겼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의협·서울시의사회 “참담…강력 대응하겠다”

때문에 의료계가 나서서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한의사협회나 서울시의사회도 이번 사건에 대해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의협 추무진 회장은 24일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사건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의협은 이번 사건의 책임자를 중앙윤리위원회에 회부할 방침이다.

서울시의사회는 지난 23일 성명서를 내고 “참담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 이로 인해 건강상 위해를 겪은 분들과 심려하고 계신 분들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고 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이어 “보건 당국의 감염경로 확인 및 의협 조사 등 결과를 보고 강력히 자체 대응하겠다”며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본회 소속 각 구의사회 등과 함께 감염 관리에 만전을 기해 국민들이 의료기관을 믿고 찾을 수 있도록 반성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의사회는 또 “차제에 주사 치료 등에 대한 대국민 불신이 우려되므로 병의원뿐 아니라 한의원이나 각종 침구 시술이나 불법적인 미용 및 문신 시술 등이 이뤄지는 곳에 대한 감염관리 실태를 철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보건당국의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감염 사각 지대가 우리 사회 곳곳에 존재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