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서 이미 적용…연구시험방법론·규제기준 등 선제적 제도마련 필요성 제기

가상·증강현실의 본격적인 임상 적용에 앞서 정부가 관련 규제 마련에 선제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현재도 수술 계획과 시뮬레이션, 재활훈련 등에 일부 활용되고 있는 가상현실 기술이 향후 의료분야에서의 시장 잠재력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제도가 미비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현정우 선임연구원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가 최근 공개한 '의료 분야에서의 가상현실 기술 동향'을 통해 "가상·증강현실 기술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만, 시장규모는 타 분야에 비해 크지 않고 제도마련, 안전성 및 적합성 문제 등의 해결 사안이 남아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의료 분야에 가상현실 기술을 응용하기 위해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임상연구의 윤리지침에 따를 필요가 있고, 유효성이나 부작용 등을 포함해 정확한 검증을 위한 연구시험방법론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임상 적용에 있어 인체 안전성 및 적합성의 문제와 법적 규제에 대한 기준안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며 "가상현실 기술을 도입한 장치의 의료기기 인정여부나 보험적용 여부 등 정부차원의 선제적인 대응을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의료 분야에서의 활용도에 대해선 가상·증강 수술 시뮬레이션을 통해 환자의 장기나 조직들을 구분해 가시화해보는 등, 가장 효과적인 수술 방법에 대한 계획을 사전에 테스트해 볼 수 있는 장점 등이 부각되고 있다고 했다.

연구원은 "영상 가이드 수술에 증강현실(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을 적용하면 수술하고자 하는 부위의 내부를 정합해서 보여주거나 단층 촬영된 영상을 함께 보여줌으로써 정확한 시술을 도와줄 수 있다"면서 "환자 맞춤형 치료나 수술 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가상현실이 응용되고 있는 임상 분야로는 ▲영상진단학(3D 가상 대장내시경 등) ▲외과학(수술, 수술기술 교육, 훈련) ▲재활의학(증강현실 기반 하지재활 훈련 로봇 등) ▲정신신경과학(심리상담 시뮬레이터 등)을 제시했다.

한편 시장조사기관인 딜로이트는 2016년 한 해 가상현실 시장규모는 총 10억달러 (1조1,385억원)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중 가상현실 관련 하드웨어 판매가 약 7억달러, 콘텐츠 매출이 약 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