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우중의컨설팅 신영종 대표, "현지서 관련 논의 활발…기술 뒤처지지만 경험 앞서"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일본과 중국의 예를 들어 원격진료의 필요성을 피력하면서, 이들 국가의 원격진료 진행사항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달 박 대통령은 청와대 주재한 ‘제5차 규제개혁장관회의 및 민관합동 규제개혁점검회의’를 통해 “일본과 중국은 원격진료 등 신산업의 발전을 위해 과감히 규제를 정비했는데 한국은 아직도 많은 부분을 규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료=나우중의컨설팅)


중국의 경우 중앙정부가 원격진료를 부족한 의료인프라를 보완할 주요 대안 중 하나로 보고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의료·헬스케어 관련 사업을 하고 있는 나우중의컨설팅 신영종 대표(중의사)는 중국 상급종합병원 중에서도 공립병원 위주로 원격진료 시스템이 갖춰지고 있으며, 포럼 등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중국에서 최근 진행된 논의들은 원격진료에 관한 보험이나 사후관리, 의료분쟁 등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에서도 원격진료 시스템 검증을 위해, 문제점을 발견해 보완해나가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는 것이다.

신영종 대표는 "중국은 중앙정부의 힘이 막강하고 의료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필요성이 워낙 컸기 때문에 원격진료를 먼저 시행할 수 있었다"면서 "현재는 보험사에 의견수렴을 하는 등 여러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포럼 등이 꾸준히 열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검증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작된 사업이어서 인력이나 기술 등 시스템안전성 면에선 부족한 점이 많다고도 했다. 기술적인 부분은 여전히 한국보다 뒤처져있지만 의료진과 환자들의 경험적인 면에서 앞서가고 있다는 것이다.

신 대표는 "의료진들도 원격진료의 신뢰도를 전반적으로 높게 신뢰하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 지방에 있는 의사들 입장에선 자신이 베이징 의사보다 못한 것도 아닌데 '원격진료를 왜 해줘야 하나'라는 불만의 목소리도 있다"며 "환자들은 자신들이 원격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인식을 못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가장 큰 차이점은 중국 내에선 원격진료를 권장하는 분위기가 있다는 것"이라며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원격진료가 많이 확산된 건 아니다. 다만 중국 정부에서 의료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해결책으로 보고 있다는 건 확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업계에 따르면 중국에선 지난해 원격진료가 가능한 온라인 가상병원이 설립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